- 정부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기존 기술이전 형태서 벗어나
임상-마케팅까지 한국서 총괄

2025년까지 점유율 5%대로
신규일자리 12만명 창출예정


우리나라가 10년 안에 1조 원대 신약(新藥) 펀드를 조성해 후보물질 개발부터 임상, 마케팅까지 모든 단계를 직접 진행하는 ‘신약 개발국’으로 발돋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국회에서 교육부·산업부·복지부 등 8개 부처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의원, 100여 명의 산·학·연·병원 전문가들이 참석한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 공청회를 개최했다.

문재인 정부의 제약·바이오 산업 국가 최상위 계획인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 수립을 위한 마지막 의견수렴 절차로, 10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보고 후 연말쯤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바이오경제 혁신전략 2025가 확정되면 1994년 제1차, 2007년 2차 계획에 이어 향후 10년간 바이오 산업의 기본방향을 제시할 큰 그림이 된다.

이 계획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글로벌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2015년 1.7%(27조 원·종사자 2만6000명)에서 2025년 5%(152조 원·14만5000명)로 높여 12만 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신약 개발에서 후보물질 개발단계부터 1조 원 이상의 신약 메가펀드를 구축해 글로벌 임상과 마케팅 등 전 단계를 우리 손으로 직접 진행함으로써 신약 개발국으로 진입할 예정이다. 그동안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해 글로벌 의약 기업에 기술 이전하는 형태가 주를 이뤘으나 일부 국부 유출이란 지적도 있었다. 선진국을 베끼던 추격형 연구·개발(R&D)의 한계를 극복해 글로벌 최초 R&D를 시도, 기초원천 기술은 과기정통부가 하고 기업 수요기반은 산업부 등 타부처가 맡아 ‘이어달리기 R&D’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 미세먼지, 유해 화학물질 문제 등 국민이 체감 가능한 생활형 난제 해결에 바이오 R&D의 역할을 높일 방침이다.

의료기기의 경우 산업부·복지부·과기정통부가 별도 진행하던 R&D를 범부처 의료기기 R&D 사업으로 통합해 개발,인허가,제품화 등 전주기를 지원해 신개념 융합 의료기기의 시장진입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또 병원의 R&D와 사업화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부처 합동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1983년 개정된 생명공학육성법도 지난 30년간 변화를 반영해 민간 개발 후 정부가 사업화를 지원할 정책수단을 새로 명기할 방침이다. 글로벌 바이오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반도체·자동차·화학 제품 등 3대 산업 합계(3조6000억 달러·4088조5200억 원)를 넘어선 4조4000억 달러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노성열 기자 nosr@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