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측면엔 한글 자음 입체적 표현
지름 92.5㎜ 두께 최대 9.42㎜
금메달 586g…순은에 순금 입혀
訪美 文대통령 뉴욕서 동시 공개
IOC “디자인이 굉장히 독창적”
2018 평창동계올림픽 영광의 순간을 함께할 메달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메달과 리본은 우리 문화의 상징인 한글과 한복을 모티브로 제작, 전체적으로 한국 특유의 세련미를 담았다.
평창동계올림픽·패럴림픽조직위는 21일 오전 서울 중구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이희범 조직위원장,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송석두 강원도 행정부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메달 공개 행사를 개최했다. 같은 시간 미국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메달이 공개됐다.
세계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음성 체계인 한글이 메달 디자인의 콘셉트. 한글은 우리 문화의 ‘뿌리’이고 문화가 진화하고 발전하는 과정에 녹아든 ‘노력과 인내, 인고’는 ‘줄기’다. 뿌리와 줄기는 우리 문화의 아름다운 ‘꽃과 열매’의 밑바탕이 됐다. 이를 올림픽으로 옮기면 꽃과 열매는 ‘경기와 메달’이고 줄기는 ‘올림픽을 위한 선수들의 노력과 인내, 열정’이다. 이 같은 개념을 기반으로 뿌리를 의미하는 한글의 자음, 선수들의 노력과 인내(줄기)를 상징하는 사선을 사용해 열매(메달)를 완성했다.
메달 앞면은 올림픽 전통에 따라 왼쪽 상단에 오륜이 배치되고 역동적인 사선이 담겼다. 뒷면에는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과 세부 종목 명칭을 새겨 넣고 역시 사선 디자인을 적용했다. 다양한 형태의 사선을 메달 앞뒤로 깊이 새겨 두께에 변화를 줬다. 측면을 활용했다는 점은 기존 메달과의 가장 큰 차이점. 메달 측면에 ‘평창동계올림픽이공일팔’의 자음 ‘ㅍㅇㅊㅇㄷㅇㄱㅇㄹㄹㅁㅍㄱㅇㄱㅇㅇㄹㅍㄹ’을 입체감 있게 표현했다. 이석우 디자이너는 “평창동계올림픽을 준비하는 전 세계 선수들의 열정과 노력을 어떻게 한글과 함께 아름답게 표현할지 고민했다”며 “기존 메달과 다른 평창만의 독창성을 찾고 싶어 메달 옆면에 한글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메달 지름은 92.5㎜다. 두께는 사선이 도드라져 나오거나 들어가도록 제작돼 최저 4.4㎜, 최대 9.42㎜로 일정하지 않다. 무게는 금메달이 586g, 은메달이 580g, 동메달이 493g이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 무게는 460∼531g이었고,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메달은 모두 500g이었다. 금메달과 은메달은 순은(순도 99.9%)으로 제작되고, 금메달엔 순금 6g을 도금했다. 동메달은 단동(丹銅)을 사용했다.
메달 리본은 한복 특유의 옷감인 갑사를 소재로 활용했고 한글 눈꽃 패턴과 자수를 섬세하게 적용했다. 리본 색깔은 대회 룩(문양)과 같이 옅은 청록과 옅은 빨강을 사용했다. 폭은 3.6㎝이고, 메달을 매달았을 때의 길이는 42.5㎝다.
메달은 한국조폐공사가 맡아 모두 금·은·동 259세트를 제작한다. 222세트는 102개 세부 종목 입상자에게 수여한다. 5세트는 동점자가 발생했을 경우 사용하고, 나머지는 국내외 전시에 활용한다. 메달과 함께 제공되는 메달 케이스는 원목으로 제작되며 전통 기와지붕의 곡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메달 케이스에는 메달과 메달 설명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배지, 메달리스트 노트가 함께 담긴다.
이희범 조직위원장은 “2주 전 평창에서 IOC 위원과 경기단체장 등에게 비공개를 전제로 메달을 먼저 보여줬는데 ‘디자인이 굉장히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전통적인 요소를 사용한 점에서 무척 감탄했다”며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모든 소리를 표현하듯이, 평창이라는 무대에서 온 세계가 조화롭게 평화를 노래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메달을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평창동계올림픽 메달은 한글을 모티브로 한 대회 상징물, 동계 종목 피규어 등과 함께 오는 24일까지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어울림마당에서 전시된다. 조직위는 다양한 체험 이벤트 등 홍보전도 펼칠 계획이다. 평창동계패럴림픽 메달은 추후 발표할 예정이다.
조성진 기자 threeme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