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부·외교부와 대책회의
미국 정부가 한국산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절차를 밟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이를 저지하기 위한 총력전에 돌입했다. 전자업계는 오는 19일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2차 공청회를 앞두고 월풀의 주장과 ITC 판정내용 등에 대한 반박 전략을 치밀하게 구성해 세이프가드를 필사적으로 막겠다는 방침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과 LG전자 통상 관련 임원들과 실무진은 11일 오후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와 각각 대책회의를 연다. 회의에서는 오는 19일 열리는 ITC 2차 청문회에서 각 업체가 주장할 반박과 발언자 등을 조율할 것으로 전해졌다.
ITC 2차 청문회에서 삼성·LG전자는 미국에 가전 공장 건설 등 전자 산업 투자 기여도와 한국산 프리미엄 세탁기가 월풀 제품군과 크게 겹치지 않는 점 등 월풀 주장의 모순점 등을 부각할 것으로 관측된다. 세이프가드가 발동되면 미국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침해받는 점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공청회에 앞서 제출할 의견서에서도 최대한 소명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1위 업체인 월풀은 새로운 기술력을 앞세운 한국업체들이 시장을 잠식하는 것을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세이프가드가 발동돼 관세가 폭등하면 연간 1조1400억 원에 달하는 한국산 세탁기의 대미 수출은 직격탄을 맞게 된다”고 말했다.
앞서 ITC는 지난 5일 ‘삼성·LG전자 세탁기가 자국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미치고 있다’고 판정했다. ITC는 19일 2차 공청회를 열고, 11월 21일 구제 조치 방법과 수준을 결정하는 표결을 진행한다. 이를 토대로 피해 판정과 구제조치 권고 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 12월 4일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