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檢, 관련자 조만간 소환 조사
장호중 前부산지검장 영장 검토
이명박 정부 때 국가정보원의 공영방송 장악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30일 김재철 당시 MBC 사장을 포함한 임원진 3명 등의 주거지와 현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공영방송 장악 의혹에 본격적으로 칼을 빼 든 검찰은 이르면 이번 주 중 김 전 사장을 비롯해 주요 혐의자들을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은 이날 김 전 사장, 백종문 전 부사장, 전영배 전 보도본부장(현 MBC C&I 사장) 등 당시 MBC 보도국 임원진 3인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당시 MBC 전담 국정원 직원의 주거지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검찰은 당시 국정원과 MBC 임원진이 조직적으로 정부에 비판적인 방송프로그램과 제작진 및 연예인들을 퇴출시킨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조사에서 김 전 사장이 국정원 담당관과 수시로 만났고, 만난 이후 제작진 교체 등이 이뤄지는 경우가 잦았다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에 따르면, 국정원은 2010년 3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지시로 ‘MBC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 문건을 작성했다.
이 문건에는 김 전 사장의 취임을 계기로 고강도 인적 쇄신, 편파 프로그램 퇴출 등을 통해 MBC의 ‘근본적 체질’을 개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검찰 관계자는 “이들은 당시 PD수첩 등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MBC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해 제작진과 진행자 교체, 방영 보류, 제작 중단 등의 불법 관여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 수사팀은 이날 당시 MBC 경영진 교체에 대한 불법을 확인하기 위해 방송문화진흥회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도 벌였다. MBC 노조에 따르면, 김 전 사장 취임 후 MBC 관계사 28곳 중 22곳의 사장이 교체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수사팀은 2013년 ‘국정원 댓글수사 방해’ 의혹과 관련해 은폐를 주도한 것으로 의심받는 ‘현안 태스크포스(TF)’ 관계자 7인 전원을 이날까지 사흘 동안 소환 조사했다.
수사팀은 29일 소환돼 이날 오전 6시까지 조사를 마치고 나온 장호중 전 부산지검장 등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안 TF의 ‘수사 대응 문건’을 확보한 검찰은 국정원 차원에서 소속 직원과 심리전단 관계자들에게 수사·재판 방해 교육이 이뤄진 것으로 파악한다. 검찰은 이번 주 중 남재준 당시 국정원장을 소환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정우 기자 krust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