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그룹 전체론 1.2% 증가
“고용 활성화 환경조성 필요”
올해 국내 30대 그룹의 고용이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제자리걸음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일자리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 기업 고용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용이 5000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신성장산업 발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30대 그룹 계열사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총 261개사의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말 기준으로 총 94만506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93만3615명에 비해 1.2%(1만1452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정규직 근로자는 총 87만9979명으로 단 0.7% 늘어났다. 기간제 근로자는 6만5088명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30대 그룹의 3분기 말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82조702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5.4% 증가했다
그룹별로 살펴보면 LG그룹이 총 12만9471명으로 전년 대비 4793명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어 GS가 4518명, 대림이 2338명, 삼성이 2074명, 현대차가 1505명, 포스코가 1216명 순이었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가 4462명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GS리테일이 2838명, 대림산업이 2359명, LG이노텍이 2312명, LG화학이 1612명으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도 1121명 증가해, 글로벌 반도체 호황에 따라 삼성전자와 더불어 두 회사의 고용만 1년 새 5583명 증가했다. 반면 전 세계적인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중공업사들이 구조조정을 시행하면서 고용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중공업은 전년 대비 3449명, 대우조선해양은 2254명, 삼성중공업은 916명 줄어드는 등 조선 3사에서 총 6619명이 감소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고용 활성화 환경조성 필요”
올해 국내 30대 그룹의 고용이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제자리걸음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일자리 정책의 실질적인 효과를 위해 기업 고용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고용이 5000명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신성장산업 발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16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30대 그룹 계열사 중 3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총 261개사의 고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9월 말 기준으로 총 94만506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93만3615명에 비해 1.2%(1만1452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정규직 근로자는 총 87만9979명으로 단 0.7% 늘어났다. 기간제 근로자는 6만5088명으로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30대 그룹의 3분기 말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82조702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5.4% 증가했다
그룹별로 살펴보면 LG그룹이 총 12만9471명으로 전년 대비 4793명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어 GS가 4518명, 대림이 2338명, 삼성이 2074명, 현대차가 1505명, 포스코가 1216명 순이었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가 4462명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GS리테일이 2838명, 대림산업이 2359명, LG이노텍이 2312명, LG화학이 1612명으로 뒤를 이었다. SK하이닉스도 1121명 증가해, 글로벌 반도체 호황에 따라 삼성전자와 더불어 두 회사의 고용만 1년 새 5583명 증가했다. 반면 전 세계적인 불황을 겪고 있는 조선·중공업사들이 구조조정을 시행하면서 고용이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중공업은 전년 대비 3449명, 대우조선해양은 2254명, 삼성중공업은 916명 줄어드는 등 조선 3사에서 총 6619명이 감소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