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등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이 17년 만에 50%대를 회복했다.

교육부는 2017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취업률을 조사한 결과 50.6%로 전년(47.2%)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 2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옛 종합고 전문반)을 졸업한 학생들의 취업 현황을 4월 1일 기준으로 조사한 것으로,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 50% 돌파는 2000년(51.4%) 이후 17년 만이다. 마이스터고 취업률이 93.0%로 가장 높았고, 특성화고는 50.8%, 일반고 직업반은 22.4%를 기록했다.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의 취업률은 전년(각 90.3%, 47.0%)보다 각 2.7%포인트와 3.8%포인트 높아졌지만, 일반고 직업반 취업률은 전년(23.6%)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교육부는 일반고 직업반의 경우 대학 진학을 고려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과 대부분 중소도시에 소재한 점 등이 취업률 하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직업계고 졸업생의 취업률은 2009년 16.7%로 최저치를 기록한 이후 8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고졸 취업이 점차 확산하고 있는 사회문화의 변화가 주요한 원인으로 교육부는 분석했다. 취업률이 높아지면서 진학률도 전년(34.2%)보다 1.7%포인트 상승한 32.5%를 기록했다. 홍민식 교육부 평생직업교육국장은 “고졸 취업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 및 산업계와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양질의 고졸 일자리를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임대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