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신동빈 회장 1심 선고

檢 10년 구형…그룹 초긴장
전문경영인 5명도 5년 구형
지주체제 전환 등 올스톱 예상
“법정구속시 국가경제 큰 손실”


계열사 93개, 자산 규모 103조 원에 달하는 재계 5위 롯데그룹이 풍전등화의 운명에 휩싸였다. 신동빈(사진) 그룹 회장에 대한 경영비리 관련 1심 선고가 4일 앞으로 임박하면서 그룹 전체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자칫 최악의 총수 부재 사태가 닥칠 경우 또 한 번 격랑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미 검찰이 징역 10년의 중형을 구형한 상태라 재판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도 아무도 장담하지 못하는 표정이다. 재계는 롯데그룹이 대국민 약속을 통해 투명경영을 차근차근 추진하고 있던 상황이 십분 고려되어야 한다며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신 회장, 신격호 명예회장, 신 회장의 형인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서미경 씨 등 총수일가에 대한 경영비리 혐의 1심 공판이 22일 서울지방법원에서 열린다. 검찰은 앞서 결심공판에서 롯데시네마 임대 배임, 롯데피에스넷 불법 지원 등을 신 회장이 주도했다며 신격호 명예회장과 함께 징역 10년을, 신 이사장, 서 씨에게는 7년, 신 전 부회장에게는 5년을 각각 구형했다. 채정병 전 롯데그룹 정책본부 지원실장, 황각규 전 운영실장, 소진세 전 대외협력단장, 강현구 전 롯데홈쇼핑 사장 등 전문경영인들도 각각 징역 5년을 구형받았다.

전례가 없는 총수 일가와 전문경영진까지 포함한 무더기 기소, 선고로 인해 롯데그룹은 창업 이래 가장 어려운 난관에 봉착했다. 실형이 선고돼 법정 구속되는 사태가 벌어지면 롯데그룹의 경영 가도는 한순간에 적신호가 켜진다. 파장이 워낙 크다 보니 그룹 내부에서는 컨틴전시플랜(비상경영계획)조차 생각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재판에서 최대한 해명하고 소명했기 때문에 현명한 판단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그룹은 지난 2013년 말 경영권 분쟁이 불거진 후 4년 동안 내홍과 검찰수사 등을 겪는 과정에서 후진적이라고 비판을 받아온 지배구조 쇄신을 위해 호텔롯데 상장, 지주사 체제 전환·완성과 함께 10조 원을 넘게 투자한 중국, 유럽, 미국, 동남아 대상의 글로벌 인수·합병(M&A) 등 해외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자칫 모두 올스톱 될 처지에 놓인 것이다. 일본롯데의 분리 경영 가능성까지 고개를 들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신 회장을 정점으로 탈(脫)일본기업 쇄신과 투자, 고용 확대에 박차를 가해 왔는데 미완으로 끝난다면 이 또한 국가 경제에 큰 손실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민종 기자 horizon@munhwa.com
이민종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