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통화정책 파급’ 보고서
가계부채 수준이 높을수록 금리를 올릴 때 총수요·소비가 큰 폭으로 줄어든다는 한국은행 내부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또 한국처럼 변동금리 가계부채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가계부채 수준이 높을 때 금리 인상의 경기조절 효과가 큰 만큼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려는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이 29일 발간한 ‘가계부채 수준에 따른 통화정책의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김영주 연구위원과 임현준 연구위원은 1984∼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계부채 수준이 높으면 금리 인상 시 경기조절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6년 5개월 만에 인상한 이후 내년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놓고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신중론이 내부에서 나온 것이다.
이는 금리를 인상하면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가구가 많아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아울러 금리 인상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면서 한계소비성향이 낮은 채권자가 상대적으로 이익을 얻게 돼 소비·총수요를 축소하는 효과 또한 확대되는 탓도 있다.
채권의 가치가 올라 자산이 불어나더라도 채권자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많아서 이전보다 소비를 크게 늘지 않는다. 반면 부채 부담이 커진 채무자는 저소득층이 많아 소비를 큰 폭으로 줄이기 때문이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가계부채 수준이 높을수록 금리를 올릴 때 총수요·소비가 큰 폭으로 줄어든다는 한국은행 내부 분석이 나왔다. 한은은 또 한국처럼 변동금리 가계부채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가계부채 수준이 높을 때 금리 인상의 경기조절 효과가 큰 만큼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높이려는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은이 29일 발간한 ‘가계부채 수준에 따른 통화정책의 파급효과’ 보고서에서 김영주 연구위원과 임현준 연구위원은 1984∼201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계부채 수준이 높으면 금리 인상 시 경기조절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한은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6년 5개월 만에 인상한 이후 내년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놓고 전망이 엇갈리는 가운데 신중론이 내부에서 나온 것이다.
이는 금리를 인상하면 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가구가 많아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아울러 금리 인상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하락하면서 한계소비성향이 낮은 채권자가 상대적으로 이익을 얻게 돼 소비·총수요를 축소하는 효과 또한 확대되는 탓도 있다.
채권의 가치가 올라 자산이 불어나더라도 채권자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층이 많아서 이전보다 소비를 크게 늘지 않는다. 반면 부채 부담이 커진 채무자는 저소득층이 많아 소비를 큰 폭으로 줄이기 때문이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