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연락채널 재개 싸고
정치권 이념따라 반응 갈려

‘北 평창 참가’ 여론조사에선
76.7% “찬성” 20.3% “반대”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고리로 남북한이 대화 채널을 재가동한 것을 놓고 정치권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남북 대화 채널 개통에 대해 “우리 정부의 일관된 대화 노력과 의지가 상시 대화 체제로 전환될 계기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며 “북한을 세심하게 배려하고 그 신뢰를 바탕으로 큰 대화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정태옥 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이 사실상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전제로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개성공단 재개, 현금 지급 등 무리한 요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문재인 정부가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해 국가 안보의 위중함을 망각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통합을 결의한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며 안보 관련 시각차를 노출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허버트 맥매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를 듣고 안심한 사람이 있다면 샴페인을 너무 많이 마신 것’이라고 했는데, 이는 명백하게 문재인 정부를 겨냥한 이야기”라며 “한·미 간 조율은커녕 심각한 인식 격차를 보여주는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핵과 미사일을 사실상 완성한 김 위원장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를 카드로 활용해 한·미 동맹을 분열시키고 이간질하려는 의도를 정부가 알아야 한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행자 국민의당 대변인은 “북한 선수단의 평창동계올림픽 참여와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바란다”면서 “연락망 개통은 대화를 위한 시작일 뿐인 만큼 당장의 성과에 급급해 성급한 오판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한편 리얼미터가 3일 전국 성인 남녀 504명을 대상으로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남북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 찬성한다’는 응답이 76.7%, ‘제재와 압박이 선행돼야 할 상황이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은 20.3%로 집계됐다.

박효목·송유근 기자 soarup624@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