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소방재난본부 집계

화재 인명피해 매년 증가세
사망 원인 ‘방화’ 가장 많아


최근 3년간 서울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사상자는 총 808명, 재산피해는 총 437억8000만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화재 원인이 규명된 사망자 가운데 방화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15∼2017년 화재 및 인명피해 현황을 분석, 24일 발표했다.

화재로 인한 연도별 사상자는 2015년 249명, 2016년 276명, 2017년 283명 등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015년 27명, 2016년 40명, 지난해 37명이었다. 재산 피해는 2015년 143억 3000만 원, 2016년 141억 2000만 원, 지난해 153억3000만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최근 3년간 사망자 104명을 화재 원인별로 살펴봤더니 ‘원인 미상’이 34명(32.7%)이었다. 원인이 규명된 화재 중에서는 방화(방화 의심 포함)가 33명(31.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주의 20명(19.2%), 전기적 요인 16명(15.4%), 가스 누출(폭발) 1명(1%) 등의 순이었다.

사망 원인은 유독가스 연기 흡입을 동반한 화상이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화상 17명, 피난 중 뛰어내림 5명, 복합 원인 3명, 넘어지거나 미끄러짐 1명, 기타 1명, 미상 1명 등으로 집계됐다. 장소별로 따져보면 사망자의 대부분인 79명(76%)이 주거시설에서 희생됐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이 43명(54.4%)으로 가장 많았고, 공동주택 34명(43%)·기타 2명(2.5%) 순이었다.

김도연 기자 kdychi@munhwa.com
김도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