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생활용수 부족 심화 “농사도 못 지을 판”

두 차례 실무협의… 대책 논의
가뭄 지속에 ‘물 절약 운동’도
국토부·환경부 등 답변 받기로
환경단체선 “생태계 회복” 주장


낙동강 보 인근 기초자치단체들이 극심한 가뭄 해결을 위해 보 개방을 중단해야 한다는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하기로 했다. 낙동강을 끼고 있는 경남도와 경북도, 대구시는 가뭄 극복을 위해 대대적인 물 절약운동과 저수지 준설 등 용수 확보에 나섰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4대강 수질 개선과 환경보호를 위해 보 개방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치수를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25일 낙동강 유역 기초자치단체에 따르면 대구 달성군, 경북 고령·성주·칠곡군, 경남 창녕·합천·의령·함안군 등 8개 자치단체는 오는 2월 1일 낙동강 보 개방에 따른 피해 보상과 대책 및 보 개방 중단을 요구하는 공동건의문을 채택해 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한국수자원공사에 전달하고 공식 답변도 받기로 했다. 이들 지자체는 공동건의문 작성을 위해 지난 15일, 24일 잇따라 실무협의회를 열었다.

건의문에는 낙동강 합천창녕보 개방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창녕과 합천지역 농작물 피해를 보상하고 낙동강 일대 마늘·양파 재배농가의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2월 초순까지 합천창녕보 수위(현재 4.9m)를 양수장 가동이 가능한 8.8m까지 높여 달라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 보 개방과 관련해 중앙부처 대화 창구를 일원화하고, 앞으로 보를 개방할 경우 농작물과 친수시설, 내수면 어업에 끼칠 영향 등에 대해 해당 지자체의 의견을 듣고 보 수위를 조절할 것을 요구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영남권 자치단체들은 가뭄 장기화로 용수 확보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경남도는 최근 6개월간 경남지역 강수량이 평년 대비 63%, 최근 3개월간 강수량이 27%에 그치자 범도민 절수운동 전개, 매주 가뭄대책점검회의 개최, 대체 수원개발을 통한 생활·농업용수 공급, 저수지 준설 등의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밀양댐의 경우 저수율이 26.8%에 불과해 양산·밀양시와 창녕군에 공급하는 생활용수를 줄여 가고 있으며 해당 시·군에서는 낙동강과 밀양강 등을 대체 수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대구시도 동구·수성구 지역 주민들의 식수원인 운문댐 물 확보가 어려워지자 오는 2월부터 금호강 물을 끌어와 공급하기로 했다. 또 물 사용량이 많은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는 시간대별로 수급을 조절하는 등 물 절약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경북도 역시 최근 1년간 도내 강수량이 평년 대비 71.6% 수준으로 떨어지자 용수 공급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환경단체는 합천창녕보 수문을 개방한 후 상류 달성보 사이 낙동강 수위가 4대강 사업 이전과 비슷해져 모래톱이 생기고 철새, 수달 등이 되돌아오는 등 생태계를 회복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창원 = 박영수·대구 = 박천학 기자 buntle@munhwa.com
박영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