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신속한 진실 규명”
정의당 “관련자 일벌백계”
서지현 창원지검 통영지청 검사가 과거 검찰 조직 내에서의 성추행 피해 사례를 고백하면서 사건을 덮은 배후로 최교일 자유한국당 의원을 지목, 이른바 검찰발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논란이 정치권으로 옮겨붙을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서 검사의 폭로와 관련, “(성추행) 가해자는 바로 얼마 전까지 (검찰 내) 요직을 두루 거친 사람”이라며 “정의 구현이 존재 이유인 검찰 내부에서조차 이처럼 위계에 의한 성추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에 국민이 크게 좌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성추행 가해자로 지목된 안태근 변호사(전 법무부 검찰국장)와 무마자로 지목된 최 의원(사건 당시 법무부 검찰국장)을 겨냥해 “피해자인 서 검사는 검찰 내부에서조차 남성의 발목을 잡는 ‘꽃뱀’ 취급을 받으며 부당한 인사조치를 받았다. 피해자 진술이 나온 만큼 철저한 가해자 추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이날 의원총회에서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법무부와 검찰은 이번 사건과 추가 의혹이 제기된 검찰 내부의 성폭력 사건에 대해 성역 없는 수사와 (관련자들을)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사법권력의 정점에서조차 범죄가 발생하고 묵인됐으며, 2·3차 가해가 이뤄졌다는 사실은 여성들이 얼마나 성범죄에 노출되고 보호받지 못한 것인지를 짐작하게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 의원은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서 검사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고 한 번도 연락한 사실도 없다. 당시 사건 현장에 있지도 않았는데 왜 나를 지목해 끌어들였는지 모르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최 의원은 “성추행 사건 자체를 알지 못했는데 어떻게 덮을 수 있겠느냐”고 의혹을 일축했다.
장병철 기자 jjangbeng@munhwa.com
정의당 “관련자 일벌백계”
서지현 창원지검 통영지청 검사가 과거 검찰 조직 내에서의 성추행 피해 사례를 고백하면서 사건을 덮은 배후로 최교일 자유한국당 의원을 지목, 이른바 검찰발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논란이 정치권으로 옮겨붙을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서 검사의 폭로와 관련, “(성추행) 가해자는 바로 얼마 전까지 (검찰 내) 요직을 두루 거친 사람”이라며 “정의 구현이 존재 이유인 검찰 내부에서조차 이처럼 위계에 의한 성추행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에 국민이 크게 좌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성추행 가해자로 지목된 안태근 변호사(전 법무부 검찰국장)와 무마자로 지목된 최 의원(사건 당시 법무부 검찰국장)을 겨냥해 “피해자인 서 검사는 검찰 내부에서조차 남성의 발목을 잡는 ‘꽃뱀’ 취급을 받으며 부당한 인사조치를 받았다. 피해자 진술이 나온 만큼 철저한 가해자 추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도 이날 의원총회에서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법무부와 검찰은 이번 사건과 추가 의혹이 제기된 검찰 내부의 성폭력 사건에 대해 성역 없는 수사와 (관련자들을)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사법권력의 정점에서조차 범죄가 발생하고 묵인됐으며, 2·3차 가해가 이뤄졌다는 사실은 여성들이 얼마나 성범죄에 노출되고 보호받지 못한 것인지를 짐작하게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 의원은 자신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서 검사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고 한 번도 연락한 사실도 없다. 당시 사건 현장에 있지도 않았는데 왜 나를 지목해 끌어들였는지 모르겠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최 의원은 “성추행 사건 자체를 알지 못했는데 어떻게 덮을 수 있겠느냐”고 의혹을 일축했다.
장병철 기자 jjangbe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