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이프가드 이어 또다른 부담
미국 뉴욕주에서 다리나 도로 등 인프라 건설 시 미국산 철강을 사용하도록 하는 일명 ‘뉴욕 바이(buy) 아메리칸’ 법이 오는 4월 발효된다. 이같이 ‘미국 우선주의’가 노골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러스트벨트(미국 중서부-북동부의 쇠락한 제조업 지대)를 중심으로 한국산 철강에 대한 미국 내 규제가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외신과 코트라 북미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미국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는 최근 ‘뉴욕 바이 아메리칸’ 법안에 서명했다. 이는 주 정부가 건설하는 육상 도로 및 교량 프로젝트에 미국산 구조용 철강 및 철제품 사용을 우선시하는 것이다. 해당 법안은 오는 4월 1일부로 일부 발효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미국산 제품 사용과 미국인 고용을 우선시하는 ‘바이 아메리칸-하이어 아메리칸’ 행정명령을 내린 이후 일부 주에서 특정 산업군의 미국산 우선 구매를 강화하는 안이 추진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뉴욕주 북부와 국경이 닿아있는 캐나다는 연결 도로 건설 사업 등에서 자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강력 대응을 예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움직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통해 일자리를 부활시키겠다고 강조하고 있어 향후 다른 주에서도 철강 등 한국 수출 품목과 관련된 규제가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세탁기, 태양광에 이어 긴급수입제한(세이프가드) 발동의 다음 타깃으로 철강, 자동차 등이 꼽히고 있다.
다른 주 정부들도 러스트벨트를 중심으로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를 본격 지원하는 형국이다. 세탁기의 경우도 러스트벨트인 오하이오주에 월풀 생산공장이 있다. 오하이오주는 트럼프 지지층이 많은 지역으로, 교량 재건 시 미국산 철강을 우선 구매하는 안에 대해서도 민주당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