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해외 비자금 뒷조사에 협조한 대가로 국가정보원의 대북공작금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이현동 전 국세청장이 12일 오전 구속영장 심사를 받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해외 비자금 뒷조사에 협조한 대가로 국가정보원의 대북공작금 수천만 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이현동 전 국세청장이 12일 오전 구속영장 심사를 받기 위해 서초동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회사 차원 조직적 조성 정황
김성우 前사장 횡령혐의 입건
120억 성격규명 마무리 단계
올림픽중 MB 친인척 소환 검토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혹을 받는 다스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12일 기존 120억 원 외에 추가로 상당한 규모의 비자금이 조성된 정황을 포착했다. 검찰은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이라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인척에 대한 소환 조사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어서 이 전 대통령을 향한 검찰 수사의 강도가 거세지고 있다.

서울동부지검에 차려진 다스 횡령 의혹 고발 사건 전담수사팀(팀장 문찬석 동부지검 차장)은 이날 취재진과 만나 “상당한 규모의 추가 비자금 단서를 포착하고 현재 금융자료를 면밀하게 추적·감독하고 있다”고 밝혔다. 검찰은 추가로 포착된 수상한 자금을 다스 회사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조성된 비자금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에 따라 김성우 전 사장과 권모 전 전무를 횡령 혐의의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 중이다. 검찰은 또 비자금 의혹을 산 기존 120억 원의 성격 규명에 대해선 “수사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면서 “공소시효 문제는 극복했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호영 전 BBK 의혹사건 특별검사의 특수직무유기 혐의에 대해서는 “공소시효 만료 전까지 면밀하게 진행해서 (기소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국가기관이 다스의 BBK 투자금 140억 원 환수 과정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1부(부장 신봉수)는 이 전 대통령의 조카인 이동형 다스 부사장을 금명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이 부사장은 이 전 대통령의 아들인 이시형 다스 전무와 다스의 경영권을 둘러싸고 알력 다툼을 벌이는 내용의 녹취록이 최근 공개되며, 다스 내부 사정을 가장 잘 말할 수 있는 인물로 여겨져 왔다. 세간의 의혹대로 다스가 MB의 차명재산이라는 점이 확인되면 △BBK 투자금 반환 회수 국가기관 개입 △삼성의 다스 소송비용 대납 △다스 비자금 120억 원 조성 의혹 등 다스 관련 수사의 실마리가 한꺼번에 풀릴 것으로 검찰은 기대하고 있다. 검찰은 이 부사장을 시작으로 평창동계올림픽 기간과 상관없이 MB 일가를 필요할 때마다 소환할 방침이다.

한편 검찰은 전날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으로부터 자금을 받아 불법 여론조사 등에 쓴 의혹을 받는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이날 밝혔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 송경호)는 장 전 총무기획관에 대한 구속영장에 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국고손실과 뇌물, 허위공문서작성 및 행사 등 혐의를 적용했다. 장 전 기획관은 정무1비서관으로 재직하던 2008년 국정원이 특수활동비를 전용해 조성한 불법 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정우 기자 krusty@munhwa.com
이정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