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굳건한 韓美동맹 알리는 상징”
내년 첫 인도… 총 40대 도입
한국군의 작전개념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5세대 최첨단 스텔스 전투기 F-35A 1호기 출고식이 28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 록히드마틴 최종 조립공장에서 열렸다. 출고식에서 F-35A 1호기가 모습을 드러내자 서주석 국방부 차관과 메릴린 휴슨 록히드마틴사 회장 등 양국 관계자 450여 명이 자리에서 일어나 박수로 맞았다.
서 차관은 축사에서 “위풍당당한 F-35A의 모습을 마주하면서 앞으로 그 어떤 것도 한반도의 안보를 위협하지 못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들고 마음이 든든해진다”면서 “F-35A의 전력화는 무기체계 도입뿐 아니라 굳건한 한·미 동맹을 대내외에 알리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왕근 공군참모총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우수한 스텔스 성능과 최첨단 항전 장비는 공군의 작전개념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대한민국 영공은 견고해지고 한반도 평화는 더욱 굳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존 코닌(공화당·텍사스) 미 연방 상원의원은 “북한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이며 평화를 추구하는 한·미 동맹에 난관을 의미한다”면서 “F-35A는 자유를 지키는 상징이며, 전략적 우월성을 유지해주는 자산”이라고 말했다.
F-35A는 올해 미국에서 6대가 생산돼 내년 3월 국내에서 첫 인도식을 가지며 2021년까지 총 40대가 인도될 예정이다. 공군에 따르면 F-35A 훈련을 받기 위해 소령·대위 베테랑 조종사 3명이 1차 파견됐고, 2차 팀 5명의 조종사가 교육을 받기 위해 미국 애리조나주 루크 공군기지로 출국했다. 이미 확정된 F-35A 40대 외에 ‘20대 추가 구매’ 여부와 관련, 이성용 공군참모차장은 “선행연구를 하는 단계”라면서 “국방기술품질원에서 주관하고 있고, 용역발주를 해서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F-35A는 적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 때문에 유사시 북한군 방공망을 피해 내륙 깊숙한 지역까지 은밀하게 침투해 핵과 미사일 시스템을 정밀 타격할 수 있어 북한의 핵·미사일 시설을 탐지·추적하고 격파하는 작전개념인 ‘킬 체인’(Kill Chain)의 핵심 전력으로 꼽힌다.
정충신 기자 csjung@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