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초 공식출범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29일 공동 교섭단체 구성 합의문을 발표했다. 교섭단체 명칭은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으로 하고 초대 원내대표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맡기로 했다. 정의당이 오는 31일 전국위원회를 소집해 합의문을 최종 승인하면 다음 주 초 공동 교섭단체로 공식 출범한다.

이용주 평화당, 윤소하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공동교섭단체는 헌법개정과 선거제도 개혁 등 ‘8대 정책 공조 과제’의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 등 6개 조항으로 구성된 합의문을 발표했다. 양당은 공동 원내대표 체제로 운영하되 초대 등록 원내대표로 노 원내대표를 내세우기로 했다. 이후 장병완 평화당 원내대표 등 양당이 2∼3개월 단위로 원내대표를 번갈아가며 맡게 된다. 국회 등록 명칭은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약칭 ‘평화와 정의’)으로 정했다. 윤 수석부대표는 “정의당 전국위를 31일 소집해 합의문을 승인받은 뒤 국회에 공동 교섭단체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동 교섭단체는 원내 20석(평화당 14, 정의당 6)으로 교섭단체 기준을 가까스로 충족하는 만큼 양당은 “안정적인 교섭단체 유지와 발전을 위해 책임 있는 노력을 다한다”는 내용을 합의문에 담았다. 평화당 관계자는 “전남지사 선거 출마가 거론되는 박지원 평화당 의원이 ‘본인 때문에 교섭단체가 구성이 안 되거나 해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다’고 한 만큼 20석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교섭단체 출범으로 국회는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과 함께 4개 교섭단체 체제로 재편된다. 원내 4당 체제에 따라 국회 지형은 민주당과 공동 교섭단체의 범진보 진영 대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범보수 진영으로 재편된다. 국회 의석 비율로 보면 범진보 148석, 범보수 145석으로 사안마다 예측불허의 표 대결이 펼쳐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공동 교섭단체는 우선 선거구제 개편에 대해 목소리를 높일 전망이다. 평화당과 정의당 모두 현행 소선거구제를 중·대선거구제로 바꾸거나 최소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공직선거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동하 기자 kdhaha@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