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지원요건 완화 등 대폭 개선
건물 임대 보조금 비율도 확대
대전시가 기업유치 저해 요인을 없애고 지원은 대폭 늘리는 방향으로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공격적인 기업유치 활동에 나섰다. 대전시는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유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조례를 개정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이번 조례에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창업·연구소기업 지원과 공장건설 설비투자 지원 확대 등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핵심 내용을 반영했다.
시는 우선 기업 지원요건을 크게 낮췄다. 기존 투자액 하한선을 100억 원에서 20억 원으로, 투자규모가 비교적 적은 문화·지식서비스산업 기업도 50억 원에서 5억 원으로 낮췄다. 연구소기업은 5억 원 이상 투자 시 지원규정을 신설했다.
일자리 창출 지원에도 역점을 뒀다. 토지과잉 투자 억제를 위해 토지매입비의 지원 비율은 50%에서 30%로 낮춘 반면, 실질적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설비투자비는 투자금액 10억 원 초과분의 10%에서 총 투자액의 14% 범위 내 지원으로 지원비율을 높이면서 대기업·중견기업의 지원도 가능하도록 했다.
또 종전에는 건물임대료의 50%의 범위에서 지원하는 임대보조금 지원 비율을 연구소기업은 80% 범위로 확대하고 지원기간도 2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다. 대전시민 신규채용 인원 10명 초과 시 1명당 60만 원 이하로 지원하는 고용보조금 지원액을 100만 원으로 대폭 상향했다.
대전 = 김창희 기자 chkim@munhwa.com
건물 임대 보조금 비율도 확대
대전시가 기업유치 저해 요인을 없애고 지원은 대폭 늘리는 방향으로 관련 조례를 개정하고 공격적인 기업유치 활동에 나섰다. 대전시는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기업유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조례를 개정했다고 6일 밝혔다. 시는 이번 조례에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창업·연구소기업 지원과 공장건설 설비투자 지원 확대 등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주요 핵심 내용을 반영했다.
시는 우선 기업 지원요건을 크게 낮췄다. 기존 투자액 하한선을 100억 원에서 20억 원으로, 투자규모가 비교적 적은 문화·지식서비스산업 기업도 50억 원에서 5억 원으로 낮췄다. 연구소기업은 5억 원 이상 투자 시 지원규정을 신설했다.
일자리 창출 지원에도 역점을 뒀다. 토지과잉 투자 억제를 위해 토지매입비의 지원 비율은 50%에서 30%로 낮춘 반면, 실질적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설비투자비는 투자금액 10억 원 초과분의 10%에서 총 투자액의 14% 범위 내 지원으로 지원비율을 높이면서 대기업·중견기업의 지원도 가능하도록 했다.
또 종전에는 건물임대료의 50%의 범위에서 지원하는 임대보조금 지원 비율을 연구소기업은 80% 범위로 확대하고 지원기간도 2년에서 5년으로 연장했다. 대전시민 신규채용 인원 10명 초과 시 1명당 60만 원 이하로 지원하는 고용보조금 지원액을 100만 원으로 대폭 상향했다.
대전 = 김창희 기자 ch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