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조작·500만원 연계 등
범죄혐의 입증 진척 없어


‘민주당원 댓글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한 직접 수사를 앞두고 있지만, 김 의원의 범죄 혐의 소명에 있어서는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김 의원은 기사 댓글 및 추천 수 조작 혐의로 구속 기소된 민주당 권리당원 김동원(49·필명 드루킹) 씨와의 커넥션 의혹을 받고 있다. 제대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 경찰이 김 의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해도 자칫 ‘면죄부 소환’이 될 수 있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건을 맡고 있는 서울지방경찰청 관계자는 27일 “참고인으로 김 의원을 소환하는 문제는 계속 검토 중이나 현재 추가로 공개할 만한 수사 진전 사항은 딱히 없다”고 전했다.

김 의원의 범죄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수사에 이렇다 할 진척이 없다는 의미다. 김 의원 계좌추적·통신내역 조회 영장을 검찰이 반려했기 때문이라는 불만도 담겨 있다. 경찰은 지난 1월 17일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 기사에 대한 비판 댓글 추천 수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조작한 드루킹의 혐의(업무방해)와 관련해 김 의원과의 연결고리를 아직 찾지 못하고 있다. 드루킹 일당의 해당 혐의에 대한 입증은 마무리가 됐지만 이 댓글 추천 수 조작이 이뤄진 당시에는 드루킹과 김 의원의 사이가 일본 오사카 총영사 인사청탁 불발로 소원해진 상황이었다.

경찰은 또 김 의원실 한모(49) 전 보좌관이 드루킹 측으로부터 500만 원을 수수한 혐의(청탁금지법)와 관련해서도 김 의원이 이 돈과 연계됐다는 증거를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김 의원이 드루킹이 청탁한 인사를 오사카 총영사 및 청와대 행정관으로 추천하는 등 대가성이 의심되는 인사청탁 정황은 있지만, 이 인사청탁과 금품 수수와의 연결고리를 증명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다.

현재까지 가장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의혹은 2017년 대선 당시 김 의원이 일명 ‘드루킹 댓글팀’의 조직적이고 인위적인 댓글 조작을 지시·방조하지 않았냐에 대해서다.

경찰도 드루킹이 대선 때부터 댓글팀을 조직해 문재인 당시 민주당 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정치적 기사에 대한 댓글을 조작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했지만 드루킹과 김 의원의 주요 소통 도구였던 ‘텔레그램’ 및 ‘시그널’ 등의 메신저 대화가 대부분 삭제되면서 입증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다영 기자 dayoung817@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