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진 제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부터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주영훈 경호처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가진 제2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문 대통령 왼쪽부터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장하성 정책실장, 주영훈 경호처장. 연합뉴스
당초 판문점 南北美 회담 계획
시기·장소 불문 빠른추진 의지

싱가포르서 3者회담 문 열어놔
靑 “모두 다 세팅땐 가능할수도”


청와대는 오는 6월 12일 미·북 정상회담 직후 남·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미·북 정상회담 성과에 연동된 문제”라고 28일 밝혔다. 싱가포르에서 남·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도 닫아 놓지 않은 것으로 시기와 장소에 관계없이 여건만 갖춰지면 종전선언을 최대한 빨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미·북 간 협상은) 비핵화와 체제 보장이 두 가지 축인데 체제 보장 안 중 하나가 남·북·미 종전선언”이라며 “그것까지 모두 다 세팅이 된다면 (남·북·미 정상회담이)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어느 정도 논의가 진척될지는 전혀 정보가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다른 관계자는 싱가포르에서 미·북 정상회담이 남·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질지 여부에 대해 “지금 상황에서는 뭐라고 할 수 없는 얘기”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청와대 관계자들 사이에서 싱가포르 남·북·미 정상회담이 가능한 여건이 된다면 마다하지 않겠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청와대는 당초 미·북 정상회담 장소가 싱가포르로 결정되면서 별도로 남·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안을 생각해 왔다. 한국전쟁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회담을 열어 종전선언의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게 청와대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청와대는 앞서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가능성에 대해 “전혀 준비하지 않고 있다”며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 같은 분위기는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 남북정상회담을 잇달아 거치면서 다소 변한 모습이다. 문 대통령은 27일 남북정상회담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할 경우에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통해서 종전선언이 추진되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정부 관계자는 “시기를 특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 대통령이 싱가포르 남·북·미 회담의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기류 변화는 북한이 원하는 체제보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자신들이 비핵화를 할 경우에 미국이 적대관계를 종식하고 체제 안전을 보장하겠다는 것을 확실히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것에 대한 걱정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체제보장책을 북한이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는 의미다. 청와대의 움직임은 북한이 비핵화를 신속하게 이행해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서 종전선언을 최대한 앞당기려고 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병채·박준희 기자 haasskim@munhwa.com

관련기사

김병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