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 3000곳 파악”

美, 정상회담 하루 전날까지
“CVID만 수용” 강조했지만
검증할 곳 많아 합의 못이뤄

日요미우리 “美 폼페이오
주중 北만나 核신고 요청”


미국이 현재 파악 중인 북한 내 핵·미사일 개발 관련 의심 건물이나 시설물이 무려 3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핵·미사일 사찰과 폐기 등 완전한 비핵화에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 6·12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이들 시설에 대한 검증·사찰 절차와 방식을 두고 협상을 시작했으나 대상이 워낙 방대해 양측이 합의에 이르지 못했으며 그 결과 ‘싱가포르 공동성명’에는 관련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향후 열린 미·북 고위급 회담에서는 이들 시설에 대한 사찰·검증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며 합의에 이르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번 미·북 정상회담 과정에서 양측이 검증에 대해 협상을 벌인 정황은 곳곳에서 나타났다. 미·북 정상회담 바로 전날이었던 지난 11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기자단 브리핑에서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와 관련해 “CVID가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유일한 결과”라며 “검증이 중요하다”(The V(verifiable) matters)고 강조했다. 또 이번 정상회담에 앞서 성 김 주필리핀 미국 대사와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이끄는 양측 실무팀은 판문점에서 6차례나 실무 회담을 한 것에도 모자라 싱가포르 현지에서는 정상회담 바로 전날에만 심야까지 3차례나 접촉을 가졌다. 그러나 결국 ‘V’와 ‘I’(irreversible, 불가역적)는 공동성명에 적시되지 않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12일 정상회담 종료 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CVID가 언급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 “시간이 부족했다”고 답했다.

실제 미국은 1980년대부터 북한 지역 위성사진을 면밀히 분석해 핵 활동이 의심되는 지역에 새로 생겨나는 건물이나 시설물들을 파악·분석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앞서 북한 매체나 우리 당국 등에 의해 거론된 북한의 핵 관련 건물이나 시설물만 해도 이미 수백 곳에 달한다. 북한의 핵개발 ‘메카’인 영변 핵단지에만 정체 불명의 건물 약 390개가 밀집해 있으며 지난 5월 폐기 행사가 실시된 풍계리 핵실험장의 여러 갱도와 부속 건물들을 비롯해 북한 내 우라늄광산과 정련공장 등 핵개발과 직결된 시설물들이 다수 알려져 있다. 한편 일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18일 미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해 폼페이오 장관이 이르면 이번 주 중으로 북한 고위 관계자를 만나 핵 관련 내용 조기 신고를 재차 요청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박준희·정철순 기자 vinkey@munhwa.com

관련기사

박준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