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사카 1% 확률’ 신뢰못해

지진, 화산 등 자연재난 대비·대처 분야에서 가장 선진국으로 손꼽히는 일본 정부가 오사카(大阪)부 지진이 발생한 지 열흘도 안 돼 일본 전역의 지진예측지도를 내놓았지만 학계, 언론계 등에서 ‘엉터리’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29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 산하 지진조사위원회는 지난 27일 일본 전역의 지진예측지도를 내놓고 향후 30년 이내에 지바(千葉)현, 요코하마(橫濱)현에 규모 6약 이상의 대형 지진이 발생할 확률이 각각 85%, 82%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의 예측을 보면 지진에 발 빠르게 대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정작 관련 전문가들은 정부의 지진예측을 불신하는 분위기다. 로버트 겔러 도쿄(東京)대 지진학과 명예교수는 일본 정부가 지진예측지도를 발표한 직후 아사히(朝日)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진이 일어나는 메커니즘은 매우 복잡한데 일본에서는 검증도 되지 않은 계산식을 사용해 향후 30년을 내다본 예측지도를 만들고 있다”며 “이 정도면 예측이 아니라 예언”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도카이(東海)대지진이 발생한 2011년에도 ‘일본인은 모르는 지진 예지의 정체’란 저서를 통해 “일본은 가까운 미래 지진을 예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품고 있지만 불행히도 지금까지 한 번도 지진의 전조조차 파악된 적이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주간 아사히(朝日)도 ‘일본 지진예측이 맞지 않는 이유’란 특집기사를 통해 “정부는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오사카 북부 단층대를 두고 지진이 발생할 확률을 1% 미만으로 예측했다”며 정부의 지진예측 분석을 부정했다. 특히 일본 언론들은 정부가 구마모토(熊本) 지역에서의 지진 발생 확률을 1% 미만으로 예측했지만 2016년 이미 2차례에 걸쳐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가 무리한 지진예측을 하는 것은 지진 관련 예산을 두고 각종 단체가 개입하기 때문이란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요미우리(讀賣)신문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지진조사위원회 예산은 112억 엔(약 1140억 원)에 달하고 지난해는 63억 엔(640억 원)이었다. 하지만 적잖은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비해 예측 결과는 사실상 전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관련기사

정철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