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엔 차기전투기 사업권 목표
F-22 기술 이전할 의사도 표명
미국 록히드마틴이 스텔스 전투기인 F-22 랩터를 기반으로 개발하면서 생산의 50% 이상을 일본 기업이 맡는 일본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계획서를 방위성에 제출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23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록히드마틴이 6조 엔(약 60조 원)에 달하는 일본의 차기 전투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이 같은 제안을 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차기 전투기 사업은 2030년부터 퇴역하는 F-2 전투기에 이은 후계기를 개발·양산하는 것으로, 방위성은 스텔스 성능을 중시해왔다. 일본은 생산의 절반 이상을 자국 기업이 맡아 스텔스 전투기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면서 주요 생산 부품의 생산을 맡으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록히드마틴은 일본 방위성에 F-22와 F-35 라이트닝Ⅱ의 혼합형을 제시하면서도 일본이 탐내는 F-22의 기술을 이전할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은 사업 초기에 일본 기업들이 F-22의 성능을 사전에 파악해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실전에 배치되지 않은 시험기를 제공할 의향도 내비쳤다.
일본 언론들은 록히드마틴이 핵심부품인 엔진 등의 생산기술도 장기적으로 자국 중공업 업체인 IHI에 이전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생산 초기 날개 개발은 미쓰비시중공업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F-22 기술 이전할 의사도 표명
미국 록히드마틴이 스텔스 전투기인 F-22 랩터를 기반으로 개발하면서 생산의 50% 이상을 일본 기업이 맡는 일본의 차세대 전투기 사업계획서를 방위성에 제출했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23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록히드마틴이 6조 엔(약 60조 원)에 달하는 일본의 차기 전투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이 같은 제안을 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차기 전투기 사업은 2030년부터 퇴역하는 F-2 전투기에 이은 후계기를 개발·양산하는 것으로, 방위성은 스텔스 성능을 중시해왔다. 일본은 생산의 절반 이상을 자국 기업이 맡아 스텔스 전투기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면서 주요 생산 부품의 생산을 맡으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록히드마틴은 일본 방위성에 F-22와 F-35 라이트닝Ⅱ의 혼합형을 제시하면서도 일본이 탐내는 F-22의 기술을 이전할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은 사업 초기에 일본 기업들이 F-22의 성능을 사전에 파악해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실전에 배치되지 않은 시험기를 제공할 의향도 내비쳤다.
일본 언론들은 록히드마틴이 핵심부품인 엔진 등의 생산기술도 장기적으로 자국 중공업 업체인 IHI에 이전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생산 초기 날개 개발은 미쓰비시중공업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