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스 KEI소장 기자간담회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캐슬린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신임 소장은 11일 “미·북 비핵화 협상은 짧지 않은 시간과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며 북한이 확실한 핵 포기 의사를 갖고 있는지 판단을 내리기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스티븐스 소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KEI 사무소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북 비핵화 협상은 단기간에 원하는 것을 해결하는 종류의 협상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그는 “현재 북한에서 나오는 비핵화와 관련한 말들은 좋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스티븐스 소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진실로 핵무기를 포기할 준비가 됐는지는 알 수가 없다”며 “하지만 북한이 핵을 보유하면 더 잘 살고, 인도나 파키스탄처럼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것으로 생각한다면 북한에는 막다른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혜택이나 인센티브 같은 격려와 압박, 둘 다를 갖고서 매우 잘 조절된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가도록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티븐스 소장은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선 것과 관련, “김 위원장이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은 조치들은 역내 긴장의 수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특사대표단 파견 등 중재자 역할에 대해서도 “미국과 북한이 2차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관계를 진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항구적인 한반도의 평화”라며 “그 방법을 찾고 실현하기 위해 말뿐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 = 김석 특파원 suk@munhwa.com
주한 미국대사를 지낸 캐슬린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신임 소장은 11일 “미·북 비핵화 협상은 짧지 않은 시간과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며 북한이 확실한 핵 포기 의사를 갖고 있는지 판단을 내리기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나타냈다.
스티븐스 소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KEI 사무소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미·북 비핵화 협상은 단기간에 원하는 것을 해결하는 종류의 협상이 아니다”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특히 그는 “현재 북한에서 나오는 비핵화와 관련한 말들은 좋지만 보다 더 중요한 것은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스티븐스 소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진실로 핵무기를 포기할 준비가 됐는지는 알 수가 없다”며 “하지만 북한이 핵을 보유하면 더 잘 살고, 인도나 파키스탄처럼 핵보유국으로 인정받을 것으로 생각한다면 북한에는 막다른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만약 혜택이나 인센티브 같은 격려와 압박, 둘 다를 갖고서 매우 잘 조절된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가도록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티븐스 소장은 북한이 핵·미사일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에 나선 것과 관련, “김 위원장이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은 조치들은 역내 긴장의 수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됐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의 대북 특사대표단 파견 등 중재자 역할에 대해서도 “미국과 북한이 2차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관계를 진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목표는 항구적인 한반도의 평화”라며 “그 방법을 찾고 실현하기 위해 말뿐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 = 김석 특파원 suk@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