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도권 주택 30만 호 공급을 위해 1차적으로 서울·경기·인천 등 신규 택지 17곳에 3만 5000가구를 조성하는 방안을 발표했으나 경기도 해당 시·군 지역의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은 주택 공급과잉와 환경훼손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나섰다.

정부가 해당 시군 관계자와 협의를 가진 후 경기 도내 택지를 발표한 곳은 광명 하안 2· 의왕 청계 2·성남 신촌·시흥 하중·의정부 우정 등 5곳이다. 과천지식정보타운, 뉴스테이 사업, 주공아파트 재건축 등의 사업을 진행한다는 이유로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한 과천시는 이번 발표에서 빠졌다.

의왕시와 시흥시 등 해당 시·군들은 정부의 택지 지정에 대해 반대의견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지역마다 미분양 물량이 많은 상황에서 서울 아파트값을 잡기 위해 그린벨트를 해제하면서까지 기반시설이 부족한 베드타운을 건설하는데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의왕·광명·성남·시흥·의정부시 일부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난개발 및 아파트 공급과잉을 우려하며 반대하고 있다.

의정부시의 경우 반대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지만 녹양동 도시개발사업과 추동·직동 공원개발사업, 보금자리 고산지구 택지개발,의정부 3동·용현동 재건축 등으로 1만여 세대의 아파트가 공사중이거나 착공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아파트공급 과잉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했다. 올해 말 입주가 완료되는 보금자리 민락2지구(1만 6000여 세대)는 한 때 미분양으로 경기침체에 빠진 적이 있고 현재도 기반시설 부족과 교통 미비로 불편을 겪고 있다.

주민들과 부동산업계는 시가 충분한 기반시설과 교통인프라를 갖추지 않은 채 곳곳에 아파트 단지와 빌라단지를 승인해주는 등 난개발이 성행하고 있는 가운데 또 정부가 녹양동에 택지를 조성해 대량의 아파트를 공급하는데 대해 반대하고 있다.

의왕시 M부동산 김모(45) 대표는 “집값 안정을 위해서는 공급량을 늘리는 것이 맞지만 이번에 발표한 상당수 입지가 선호지역과는 거리가 멀거나 미분양 물량이 쌓여있는 곳들이어서 그린벨트 일대 땅값 폭등만 가져오고 효과는 매우 적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의정부시 민락지구에 입주한 박모(여·34) 씨는 “동사무소·도서관 등 기반시설이 부족한 상황에서 시가 개발사업을 통해 대량의 아파트 건축 허가를 내주었는데 정부가 그린벨트를 풀어 또 택지를 조성한다고 하니 자족기능을 잃은 도시가 될까 두렵다 ”고 우려했다.

의정부=오명근 기자 omk@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