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 ‘9·21대책’ 싸고 서울·경기 지역서 비판 커져
경기 지역까지 거부감 심화
“서울 집값 잡기 희생양 안돼”
여당 소속 구청장들도 반발
강동구청장 “고덕강일 지구에
청년·신혼주택 이미 공급충분”
지난달 2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서 신규 택지 및 신혼희망타운 공급 대상지로 지정된 서울·경기 지역 반발이 확산 일로를 걷고 있다. 신규 택지 공급지로 지정된 지역뿐 아니라 인근 지역까지 집값 하락을 우려하며 반발 행렬에 가세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여당 소속 구청장들도 공식 입장문을 내고 반대 대열에 동참했다.
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경기 광명·시흥시에 이어 과천시 주민들도 9·21 공급대책 반대에 돌입했다. 과천시는 9·21 신규 택지 공급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언제 다시 택지 후보지로 거론될지 모른다”며 반발하고 있다. 과천시는 지역의 70% 이상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지정돼 있어 3기 신도시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 의정부 우정 신규 택지 지역과 가까운 양주시 주민들도 공급과잉에 따른 집값 하락을 우려하며 반대 대오에 동참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이정훈 서울 강동구청장은 지난달 29일 국토부가 고덕강일 지구에 신혼희망타운 3538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공식 입장문을 냈다. 서울 지역 단체장 중 정부 대책에 직접 반대 의사를 표시한 건 이 구청장이 처음이다. 그는 “이미 청년과 신혼부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택이 고덕강일 지구에 충분히 공급된 상황에서 이 지역에 다시 밀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국토부 계획에 적극 반대한다”며 “고덕강일 지구는 2011년 보금자리주택사업 추진 시 민관 합동으로 완성한 모범 지역이지만 국토부의 일방적 발표로 신뢰에 금이 갔다”고 지적했다. 강동구와 이웃 지역인 송파구 가락동 주민들도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1300가구 규모 아파트를 건설한다는 계획에 반대하며 여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과 박성수 송파구청장을 비판하고 있다. 박 시장은 올해 6월 지방선거에서 이 지역에 ‘복합 문화시설과 청년창업 공간’ 조성을 공약했었다.
특히 경기 지역의 반발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2기 신도시 조성 등으로 미착공, 미분양 아파트가 산재해 있는데, 추가로 아파트를 공급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정성호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경기 도내 주택공급을 위해 조성된 택지 물량은 77만여 호인데, 이 중 3분의 1가량에 해당되는 22만4000여 호가 미착공·미분양 상태다. 이들 지역 주민들은 “더 이상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희생양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기섭 기자 mac4g@, 수원 = 박성훈 기자 pshoon@munhwa.com
경기 지역까지 거부감 심화
“서울 집값 잡기 희생양 안돼”
여당 소속 구청장들도 반발
강동구청장 “고덕강일 지구에
청년·신혼주택 이미 공급충분”
지난달 2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서 신규 택지 및 신혼희망타운 공급 대상지로 지정된 서울·경기 지역 반발이 확산 일로를 걷고 있다. 신규 택지 공급지로 지정된 지역뿐 아니라 인근 지역까지 집값 하락을 우려하며 반발 행렬에 가세하고 있다. 서울에서는 여당 소속 구청장들도 공식 입장문을 내고 반대 대열에 동참했다.
1일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경기 광명·시흥시에 이어 과천시 주민들도 9·21 공급대책 반대에 돌입했다. 과천시는 9·21 신규 택지 공급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언제 다시 택지 후보지로 거론될지 모른다”며 반발하고 있다. 과천시는 지역의 70% 이상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지정돼 있어 3기 신도시 후보지로 꼽히고 있다. 의정부 우정 신규 택지 지역과 가까운 양주시 주민들도 공급과잉에 따른 집값 하락을 우려하며 반대 대오에 동참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이정훈 서울 강동구청장은 지난달 29일 국토부가 고덕강일 지구에 신혼희망타운 3538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공식 입장문을 냈다. 서울 지역 단체장 중 정부 대책에 직접 반대 의사를 표시한 건 이 구청장이 처음이다. 그는 “이미 청년과 신혼부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주택이 고덕강일 지구에 충분히 공급된 상황에서 이 지역에 다시 밀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국토부 계획에 적극 반대한다”며 “고덕강일 지구는 2011년 보금자리주택사업 추진 시 민관 합동으로 완성한 모범 지역이지만 국토부의 일방적 발표로 신뢰에 금이 갔다”고 지적했다. 강동구와 이웃 지역인 송파구 가락동 주민들도 옛 성동구치소 부지에 1300가구 규모 아파트를 건설한다는 계획에 반대하며 여당 소속 박원순 서울시장과 박성수 송파구청장을 비판하고 있다. 박 시장은 올해 6월 지방선거에서 이 지역에 ‘복합 문화시설과 청년창업 공간’ 조성을 공약했었다.
특히 경기 지역의 반발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 2기 신도시 조성 등으로 미착공, 미분양 아파트가 산재해 있는데, 추가로 아파트를 공급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것이다. 정성호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경기 도내 주택공급을 위해 조성된 택지 물량은 77만여 호인데, 이 중 3분의 1가량에 해당되는 22만4000여 호가 미착공·미분양 상태다. 이들 지역 주민들은 “더 이상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희생양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기섭 기자 mac4g@, 수원 = 박성훈 기자 pshoo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