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억 위안 투입했지만 감독 “내려놓을 때 됐다”
탈세 문제로 논란에 휩싸였던 중국 톱스타 판빙빙(范氷氷)이 출연한 블록버스터 영화 ‘대폭격(大爆炸)’의 개봉이 전격 취소됐다.
18일 홍콩 밍바오(明報)에 따르면 오는 26일 개봉 예정이던 영화 대폭격의 상영이 전격적으로 취소됐다. 영화를 제작한 샤오펑(蕭鋒) 감독은 17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아무리 많은 사실도 도움이 되지 않고, 아무리 결백해도 먹칠을 피할 수 없으며, 아무리 많이 노력해도 단호히 끊기 힘들다”며 “이제 내려놓을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관객에게 사과하며 “인과응보는 결국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대폭격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이 5년여에 걸쳐 충칭(重慶) 지역에 무차별 폭격을 가해 수많은 중국인이 숨진 ‘충칭대폭격’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다. 7억 위안(약 1140억 원)이 투입된 이 영화는 멜 깁슨, 브루스 윌리스 등 할리우드 스타들과 한류(韓流) 스타 송승헌이 출연했으며 중화권 스타 배우들도 대거 참여했다. 판빙빙은 이 영화에 특별 출연했다. 2차대전 승전 70주년을 기념해 2011년부터 기획된 이 영화는 2015년 촬영에 들어갔으나 중간에 투자자가 불법 투자유치 문제로 도주하는 등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샤오 감독이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 영화 후반부를 촬영했다. 원래 지난 8월 개봉 예정이었던 영화는 판빙빙 실종설 등이 돌면서 오는 26일로 한차례 개봉이 연기됐지만 결국 빛을 보지 못하게 됐다.
대폭격의 상영은 중국에서 한류 붐을 다시 일으킬 계기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개봉 취소는 아쉬움을 낳고 있다. 대폭격이 예정대로 26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동시 개봉하면 송승헌은 사드 보복으로 인한 한한령(限韓令) 이후 3년여 만에 중국 개봉 영화에 출연하는 한국 배우가 될 전망이어서 그 흥행 여부가 주목을 받아왔다.
한때 영화 총제작을 맡기도 했던 전 CCTV 토크쇼 진행자 추이융위안(崔永元)은 지난 6월 웨이보에 판빙빙이 대폭격 계약 등에서 ‘음양(陰陽)계약’을 통해 탈세했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다. 음양 계약은 실제 받은 돈보다 적은 금액을 적은 계약서를 만들어 세금을 탈루하는 관행을 말한다. 추이융위안의 의혹 제기 후 판빙빙에 대한 본격 조사가 이뤄졌다. 이후 판빙빙이 공개석상에서 사라져 ‘실종설’까지 제기됐으나 지난 3일 중국 세무당국이 판빙빙에게 8억8394만 위안(약 1440억 원)의 벌금과 세금을 내라고 명령하면서 탈세 사건의 전모가 드러났다.
이후 판빙빙은 사과문을 통해 “영화 대폭격과 다른 계약에서 이중계약을 하고 탈세한 것에 대해 죄송하다”며 “내 행동을 반성하고 전력을 다해 세금과 벌금을 내겠다”고 밝혔다. 추이융위안은 대폭격 개봉 취소 소식에 대해 웨이보에 “검은돈을 벌어 탈세하려다 조사받은 것은 인과응보이며 인민이 피땀 흘려 번 돈을 마구 써 찍은 영화의 개봉이 취소된 것도 인과응보”라며 “인과응보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상하이 경제담당 경찰 간부의 아들이 판빙빙 이중계약서 작성에 연루됐으며 영화 제작에 써야 할 거액의 돈을 횡령했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박준우 기자 jwrepublic@munhwa.com
탈세 문제로 논란에 휩싸였던 중국 톱스타 판빙빙(范氷氷)이 출연한 블록버스터 영화 ‘대폭격(大爆炸)’의 개봉이 전격 취소됐다.
18일 홍콩 밍바오(明報)에 따르면 오는 26일 개봉 예정이던 영화 대폭격의 상영이 전격적으로 취소됐다. 영화를 제작한 샤오펑(蕭鋒) 감독은 17일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아무리 많은 사실도 도움이 되지 않고, 아무리 결백해도 먹칠을 피할 수 없으며, 아무리 많이 노력해도 단호히 끊기 힘들다”며 “이제 내려놓을 때가 됐다”고 말했다. 이어 관객에게 사과하며 “인과응보는 결국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대폭격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중국을 침략한 일본군이 5년여에 걸쳐 충칭(重慶) 지역에 무차별 폭격을 가해 수많은 중국인이 숨진 ‘충칭대폭격’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다. 7억 위안(약 1140억 원)이 투입된 이 영화는 멜 깁슨, 브루스 윌리스 등 할리우드 스타들과 한류(韓流) 스타 송승헌이 출연했으며 중화권 스타 배우들도 대거 참여했다. 판빙빙은 이 영화에 특별 출연했다. 2차대전 승전 70주년을 기념해 2011년부터 기획된 이 영화는 2015년 촬영에 들어갔으나 중간에 투자자가 불법 투자유치 문제로 도주하는 등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샤오 감독이 자체적으로 자금을 조달해 영화 후반부를 촬영했다. 원래 지난 8월 개봉 예정이었던 영화는 판빙빙 실종설 등이 돌면서 오는 26일로 한차례 개봉이 연기됐지만 결국 빛을 보지 못하게 됐다.
대폭격의 상영은 중국에서 한류 붐을 다시 일으킬 계기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개봉 취소는 아쉬움을 낳고 있다. 대폭격이 예정대로 26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동시 개봉하면 송승헌은 사드 보복으로 인한 한한령(限韓令) 이후 3년여 만에 중국 개봉 영화에 출연하는 한국 배우가 될 전망이어서 그 흥행 여부가 주목을 받아왔다.
한때 영화 총제작을 맡기도 했던 전 CCTV 토크쇼 진행자 추이융위안(崔永元)은 지난 6월 웨이보에 판빙빙이 대폭격 계약 등에서 ‘음양(陰陽)계약’을 통해 탈세했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다. 음양 계약은 실제 받은 돈보다 적은 금액을 적은 계약서를 만들어 세금을 탈루하는 관행을 말한다. 추이융위안의 의혹 제기 후 판빙빙에 대한 본격 조사가 이뤄졌다. 이후 판빙빙이 공개석상에서 사라져 ‘실종설’까지 제기됐으나 지난 3일 중국 세무당국이 판빙빙에게 8억8394만 위안(약 1440억 원)의 벌금과 세금을 내라고 명령하면서 탈세 사건의 전모가 드러났다.
이후 판빙빙은 사과문을 통해 “영화 대폭격과 다른 계약에서 이중계약을 하고 탈세한 것에 대해 죄송하다”며 “내 행동을 반성하고 전력을 다해 세금과 벌금을 내겠다”고 밝혔다. 추이융위안은 대폭격 개봉 취소 소식에 대해 웨이보에 “검은돈을 벌어 탈세하려다 조사받은 것은 인과응보이며 인민이 피땀 흘려 번 돈을 마구 써 찍은 영화의 개봉이 취소된 것도 인과응보”라며 “인과응보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상하이 경제담당 경찰 간부의 아들이 판빙빙 이중계약서 작성에 연루됐으며 영화 제작에 써야 할 거액의 돈을 횡령했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박준우 기자 jwrepublic@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