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시민단체들 ‘울분’

“노동자인권에 큰소리 내면서
이익집단 도덕적해이엔 침묵”


임직원 친인척을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한 ‘고용세습’ 행태가 여기저기서 잇따라 드러나자 젊은 세대의 분노가 폭발하고 있다. 특히 민주노총이 파견한 기획입사자가 폭력을 동원해 정규직으로의 전환을 압박했다는 의혹에 대해선 “사회적 약자를 대변한다는 노동조합이 오히려 불공정을 부채질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종선 한국대학생포럼 회장대행은 19일 “임직원의 친인척이라는 이유만으로 정규직 계약을 따낼 수 있는 건 현대판 음서제에 비유할 수 있다”며 “아직도 일자리를 찾지 못한 수많은 취업준비생 마음에 비수를 꽂는 행위”라고 말했다. 박 회장대행은 이번 서울교통공사의 사례가 취업준비생들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더 나아가 ‘불법이 용인되는 사회’에 동조하게끔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취업준비생 중에는 이미 자신이 성공하기 위해선 공정한 경쟁보단 인맥이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사람이 많다”며 “엄연히 불법인 이번 사태를 놓고 ‘나도 저렇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준 게 더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취임 일성으로 공정한 사회를 강조했던 문재인 정부에 대한 일침도 이어졌다. 박 회장대행은 “노동자 인권을 중요시하며 공정함을 언급했던 이번 정부가 특정 이익집단의 도덕적 해이에는 입을 다물고 있다”며 “절대로 지지받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대학생포럼은 이와 관련해 수차례 내부 회의를 진행했으며 성명 등을 통해 서울교통공사의 일자리 대물림을 비판할 예정이다.

이종배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 모임 대표 또한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취업비리가 또 일어났다”며 “이번 사건에 연루된 사람을 일벌백계하지 않으면 취업준비생, 대학생에게 굉장한 고통을 주고 사회를 불신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대표는 “유사한 형식의 취업비리가 많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공공기관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손우성·조재연 기자 applepie@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