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세대 원주의대 조사

남성이 여성비해 위험성 높아
술보다 담배가 큰 영향 끼쳐


평소 술을 많이 마시고 흡연량도 많은 사람은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할 위험이 최대 256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흡연이 알코올중독 위험을 높이고 극단적인 선택의 위험 요인이라는 학계 정설이 통계적 수치로 재차 확인된 결과다.

연세대 원주의대 예방의학교실 정명지(박사과정) 연구팀은 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1654명(남 9729명, 여 1만1925명)을 대상으로 음주와 흡연이 자살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기분장애학회의 국제학술지(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최신호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세계보건기구(WHO) ‘알코올 사용장애 선별검사’(AUDIT)를 사용해 조사 대상자의 음주 상태를 평가했다. 8점 이상이면 문제가 있는 음주 습관, 16점 이상은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 음주다. 보통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여자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경우를 고위험 음주로 분류한다.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현재 흡연 중이면서 AUDIT 점수가 20점 이상이면 흡연과 음주를 하지 않는 사람보다 자살 생각 위험이 83.7배 높았다. 또 자살 계획은 현재 흡연 중이고 AUDIT 점수가 20점 이상인 남성에서 121.5배까지 늘었다. 실제 자살을 시도할 위험은 현재 흡연 중이고 AUDIT 점수가 만취 상태 이전인 16∼19점일 때 256.3배로 가장 높았다. 여성은 현재 흡연 중이고, AUDIT 점수가 20점 이상인 경우 자살 생각 위험이 21.9배였다. 자살 계획 위험은 같은 조건에서 19.3배에 달했다. 여성의 자살 시도는 흡연 경험이 있으면서 AUDIT 점수가 8∼15일 때 104.6배로 가장 위험했다.

같은 술을 마시더라도 현재 담배를 피우는지가 자살 위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음주량을 나타내는 AUDIT 점수가 같은 경우 과거 흡연자보다 현재 흡연자 그룹의 자살 위험이 더 커지는 특징이 남녀 모두에게서 관찰됐다.

연구 저자인 정명지 씨는 “흡연과 음주가 자살 위험 요인이라는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지만 흡연과 기분장애, 자살 위험 사이에 병태 생리학적인 관련성이 밀접하다고 여겨진다”며 “평소 음주와 흡연을 병행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이용권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