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부, 2146개社 분석

공공기관 17%… 민간보다 저조
500대기업 여성비율 제고 추진


공공기관, 지방공사·공단 등 공공부문의 여성 관리자 비율이 아직도 20% 수준에 머무는 등 ‘유리천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기업도 500대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이 2%대에 그친 가운데 정부는 기업을 대상으로 목표제까지 추진키로 했다.

31일 고용노동부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전문위원회’가 발표한 ‘2018년도 적극적 고용개선조치(AA)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총 2146개 사(공공기관 338개, 지방공사·공단 43개, 민간기업 1765개)의 평균 여성 고용 비율은 38.18%, 관리자 비율은 20.56%로 집계됐다. 사업장 유형별로는 공공기관이 38.55%로 가장 높았고 민간기업이 38.40%, 지방공사·공단이 26.07%로 뒤를 이었다. 반면 여성 관리자 비율은 민간기업이 21.50%로 가장 높았고, 공공기관은 17.28%, 지방공사·공단은 8.02%에 그쳤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의 여성 고용비율이 71.96%, 관리자 비율은 53.05%로 모든 업종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중공업’(1차 금속 5.75%, 운송장비 1.18%) 여성 고용비율은 모든 업종 중 가장 낮았다. 적극적 고용개선조치는 전체 공공기관 및 500인 이상 사업장, 300인 이상 지방공사·공단을 대상으로 여성고용기준(근로자 및 관리자 비율)을 충족하도록 유도해 고용 성차별을 해소하고 고용 평등을 촉진하는 제도다.

여성가족부는 2016년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이 2.7%에 머문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개선 대책을 추진 중이다. 여가부는 오는 12월 ‘기업의 여성 고위직 확대 방안’을 수립하고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 고위직 목표제 협약’ 체결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 2017년 기준 매출액 500대 기업 임원 현황 조사 결과를 이달에 발표한다. 여가부 관계자는 “이는 민간기업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가부는 이와 별도로 올해부터 2022년까지 수립한 공공부문 여성 대표성 제고 계획도 철저히 이행해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부진기관에는 개선 권고를 할 방침이다. 진선미 여가부 장관은 “공공부문은 빠르게 개선되고 있지만, 민간은 진입·승진에서 여전히 성별 격차가 크다”며 개선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정진영·이민종 기자 horizon@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