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결핵 발병률 남한 7배
상이한 의료체계·용어 과제


7일 남북 보건협력 회담이 11년 만에 개최되면서 우리에 비해 심각한 상태로 예측되는 북측의 감염성 질환에 대한 유입·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과 보건의료 협력을 위한 지원 체계가 갖춰질 전망이다. 보건의료 전문가들은 남북 간의 상이한 보건의료체계와 용어 등 극복해야 할 과제가 많은 만큼 단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권준욱 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김병대 통일부 인도협력국장 등 남측대표단은 이날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박명수 보건성 국가위생검열원 원장 등 북측 대표단 3명과 보건의료협력 분과회담을 했다. 남북이 보건 관련 회담을 한 것은 10·4선언 직후인 2007년 12월 남북보건의료·환경보호협력분과위원회 이후 처음이다.

전염성 질병 공동대응체계 구축이 최우선 의제다. 이는 향후 남북 교류에서 감염병 차단이 가장 기본인 보건과제이기 때문이다. 남북의 보건의료를 연구해온 통일보건의료학회 소속 전문가들은 기초단계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남북한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해선 상이한 보건의료체계 구조와 현실적인 기능을 분석하고, 신뢰할 만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게 우선이라고 밝혔다. 윤석준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정치적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보건의료협력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명시적 근거가 필요하다”며 “남북한 보건의료협정 체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혜원 서울의료원 공공의료팀 과장은 “감염성 질환 관리를 위한 준비는 초기 긴급조치를 포함해 중·장기적으로 인프라 구축 및 통제체계 구축을 통해 추진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북한의 감염성 질환은 질병 부담이 높고, 내성균의 출현과 신종 감염병에 대한 대응역량 부족 등으로 체계적 변화 및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지만 정확한 실태 파악은 어려운 상황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등이 추정한 바에 따르면 북한의 B형 간염 유병률은 대한민국의 4배(3.6배)에 가까우며, 결핵 발병률은 7배(6.7배)에 가깝다.

김재송 연세대 약대 교수도 “약학적 관점에서 한반도 건강공동체 준비를 위해서는 제일 먼저 북한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상민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교수는 “국제보건의료 동향을 보고 큰 틀에서 전략을 수립·결정하는 전문 조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치·외교 이해관계가 가장 적은 남북 보건의료 용어사전 편찬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보건의료인력 교육과정 공동 개발, 남북 공동 연구·개발(R&D) 및 학술대회 지원 등을 제안했다.

개성 = 공동취재단,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이용권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