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권 연구개발 ‘허브’ 역할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7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빌딩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연구·개발(R&D) 코리아 센터 확장 개소식을 개최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 따르면, 이번 시설 확장을 통해 사무실이 2배 이상 규모로 넓어졌다. 연구인력도 올 연말까지 40여 명으로 약 2배 늘릴 계획이다. R&D 코리아 센터는 2013년 한국을 방문한 디터 제체 다임러 AG 이사회 의장 겸 메르세데스-벤츠 CEO가 발표한 국내 투자 계획의 하나로, 2014년 처음 문을 열었다.
R&D 코리아 센터는 앞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및 인포테인먼트(인포메이션+엔터테인먼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 커넥티드 카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아시아 지역 R&D 허브로서 역할을 확대해 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커넥티드(Connected),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 및 서비스(Shared & Services) 및 전기 구동화(Electric) 등 이른바 ‘케이스(CASE)’로 대변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래 모빌리티 전략 실현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확장 개소식에는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대표, 마르쿠스 쉐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 승용부문 생산 및 공급망 관리 총괄 임원(차기 그룹 리서치 및 승용부문 개발 총괄 임원), 최수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비어트 뵈르너 주한독일대리대사, 크리스토프 하이더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총장, 바바라 촐만 한독상공회의소 대표, 임종락 LG전자 VC 사업본부 VC스마트 공통 기술 개발담당 상무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실리키스 대표는 “이번 확장 개소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의 CASE 미래전략 실현을 위한 아시아의 연구개발 허브로서 한국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메르세데스-벤츠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진델핑겐에 위치한 메르세데스-벤츠 카 그룹연구 및 개발 본부를 포함, 세계 11개국에 총 25개의 승용부문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김성훈 기자 tarant@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7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빌딩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연구·개발(R&D) 코리아 센터 확장 개소식을 개최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에 따르면, 이번 시설 확장을 통해 사무실이 2배 이상 규모로 넓어졌다. 연구인력도 올 연말까지 40여 명으로 약 2배 늘릴 계획이다. R&D 코리아 센터는 2013년 한국을 방문한 디터 제체 다임러 AG 이사회 의장 겸 메르세데스-벤츠 CEO가 발표한 국내 투자 계획의 하나로, 2014년 처음 문을 열었다.
R&D 코리아 센터는 앞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및 인포테인먼트(인포메이션+엔터테인먼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 커넥티드 카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아시아 지역 R&D 허브로서 역할을 확대해 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커넥티드(Connected),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 및 서비스(Shared & Services) 및 전기 구동화(Electric) 등 이른바 ‘케이스(CASE)’로 대변되는 메르세데스-벤츠의 미래 모빌리티 전략 실현을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날 확장 개소식에는 디미트리스 실라키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대표, 마르쿠스 쉐퍼 메르세데스-벤츠 본사 승용부문 생산 및 공급망 관리 총괄 임원(차기 그룹 리서치 및 승용부문 개발 총괄 임원), 최수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 비어트 뵈르너 주한독일대리대사, 크리스토프 하이더 주한유럽상공회의소 총장, 바바라 촐만 한독상공회의소 대표, 임종락 LG전자 VC 사업본부 VC스마트 공통 기술 개발담당 상무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실리키스 대표는 “이번 확장 개소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의 CASE 미래전략 실현을 위한 아시아의 연구개발 허브로서 한국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한국 사회에 대한 기여도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메르세데스-벤츠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진델핑겐에 위치한 메르세데스-벤츠 카 그룹연구 및 개발 본부를 포함, 세계 11개국에 총 25개의 승용부문 R&D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김성훈 기자 tarant@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