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기술력이 있고 연구개발 투자가 많은 제약·바이오 기업은 4년간 영업손실이 발생하더라도 관리종목으로 지정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타워에 위치한, 성장성 특례상장 1호 기업인 셀리버리(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체)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는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정운수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 권용원 금융투자협회장과 증권사, 상장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최 위원장은 창업·성장 단계에 있는 혁신기업에 대한 자본시장의 자금공급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인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 위원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은 세계 시장 규모가 연평균 5.2% 성장하는 분야로, 장기간 모험자본이 필요한 대표적인 고위험·고수익 분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수출증가율도 5년간 13.6%에 달하고 최근 3년간 신약 기술 수출은 33건, 계약규모는 10조4000억 원에 달하는 등 성장 잠재력도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는 평균 15년간 1조 원 이상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필요한 반면 최종 성공률은 높지 않다”며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위해 지난 9월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를 위한 감독지침에 따른 재무제표 재작성으로 제약·바이오 기업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지 않도록 상장유지조건 특례를 올해 안에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술력이 있고 연구개발 투자가 많은 기업은 4년간 영업손실이 발생해도 한시적으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신약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상장기업이 매출액 요건(30억 원)등 상장유지요건 충족을 위해 비주력사업을 병행하는 등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이러한 조치로 인해 제약·바이오 업계의 회계 투명성이 제고되고 회계처리와 상장 유지 여부의 불확실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면서 혁신적인 제약·바이오 기업의 발굴과 육성, 상장에 금융투자업계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황혜진 기자 best@
최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마포구 중소기업 DMC타워에 위치한, 성장성 특례상장 1호 기업인 셀리버리(의학 및 약학 연구개발업체)를 방문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는 유광열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정운수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 권용원 금융투자협회장과 증권사, 상장기업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최 위원장은 창업·성장 단계에 있는 혁신기업에 대한 자본시장의 자금공급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인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 위원장은 “제약·바이오산업은 세계 시장 규모가 연평균 5.2% 성장하는 분야로, 장기간 모험자본이 필요한 대표적인 고위험·고수익 분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수출증가율도 5년간 13.6%에 달하고 최근 3년간 신약 기술 수출은 33건, 계약규모는 10조4000억 원에 달하는 등 성장 잠재력도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신약 개발에는 평균 15년간 1조 원 이상의 연구개발비 투자가 필요한 반면 최종 성공률은 높지 않다”며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위해 지난 9월 연구개발비 회계처리를 위한 감독지침에 따른 재무제표 재작성으로 제약·바이오 기업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지 않도록 상장유지조건 특례를 올해 안에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기술력이 있고 연구개발 투자가 많은 기업은 4년간 영업손실이 발생해도 한시적으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또 신약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상장기업이 매출액 요건(30억 원)등 상장유지요건 충족을 위해 비주력사업을 병행하는 등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 개선 방안도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최 위원장은 “이러한 조치로 인해 제약·바이오 업계의 회계 투명성이 제고되고 회계처리와 상장 유지 여부의 불확실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면서 혁신적인 제약·바이오 기업의 발굴과 육성, 상장에 금융투자업계가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황혜진 기자 best@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