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

수소전기선박 개발 6000억 등
미래 경쟁력 제고 대책도 포함


정부가 내놓은 ‘조선산업 활력제고 방안’은 최근 회복기에 접어든 조선업계가 지금의 고비를 넘기고 미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조치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정부와 대형조선 3사, 지방자치단체는 단기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 조선사, 기자재업체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7000억 원의 신규 금융과 1조 원 규모의 만기연장을 지원키로 했다. 회복기 일감이 들어왔지만 낮은 신용등급 혹은 만기 연장이 되지 않아 유동성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금융 외에 산업위기대응지역 내 기자재업체의 약 1조 원 규모의 대출과 보증에 대한 만기를 2019년 말까지 1년 연장한다.

시장을 확대해 조선업체들이 일감을 늘려주는 방안도 마련했다. 정부는 LNG연료추진선 시장 창출을 위해 총 140척을 발주한다. 이를 통해 중소 조선사에 1조 원 규모의 시장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관은 LNG연료추진선 운영에 필요한 연료공급(벙커링) 인프라 구축에도 2025년까지 2조8000억 원을 투입한다.

지역 고용난 해소를 위해 조선업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은 내년 6월까지 연장도 추진한다. 조선업 고용은 2015년 12월 18만7000명에서 32개월 연속 감소했다가 올해 9월 10만5400명, 10월 10만5900명으로 회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위기다. 정부는 조선업 고용 회복을 위해 채용설명회와 전문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기업의 신규 채용 시 장려금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래 경쟁력을 키우는 대책도 포함됐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수소전기선박 개발에 6000억 원, 자율운항선박 기자재와 시스템 개발, 실증 등에 5000억 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공장을 조선소에 도입하는 ‘스마트 K야드 프로젝트’에 4000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관련기사

박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