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치유재단 해산 조치
“日과 협의해야 하는 상황”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2일 일본 정부 출연금 10억 엔(약 100억 원)의 처리 등 화해·치유재단 해산 후속 조치에 대해 “여러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내 위안부 피해자에게 직접 도움이 되는 방안을 최우선 순위로 검토하고 있으며, 일본에 출연금을 반환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화해·치유재단 해산에 따른 외교적 조치의 방향에 대해 “외교부가 잔액(재단 잔여기금)과 10억 엔 부분은 (일본과) 협의를 해나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10억 엔의 일본 반환 및 국제사회 여성인권운동 지원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러 방안이 논의될 것 같다”고만 답했다. 또 강 장관은 21일 재단 해산 공식 발표 이후 일본 측의 반발과 관련해서는 “과잉 대응은 이럴 때는 안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 장관은 재단 해산 및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고조된 일본과의 갈등 해소를 위해 일본을 방문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런저런 사안으로 한 번…(갈 수도 있다)”면서도 “지금 일정이 잡힌 것은 없지만 늘 옵션으로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화해·치유재단 활동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10억 엔은 건드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10억 엔을 일본에 돌려줄 계획이 전혀 없다”며 “출연금을 돌려주면 사실상 합의 파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출연금 잔여분은 어떻게든 피해자 중심으로 우리나라 안에서 소진한다는 게 큰 틀”이라며 “일본과도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日과 협의해야 하는 상황”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2일 일본 정부 출연금 10억 엔(약 100억 원)의 처리 등 화해·치유재단 해산 후속 조치에 대해 “여러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내 위안부 피해자에게 직접 도움이 되는 방안을 최우선 순위로 검토하고 있으며, 일본에 출연금을 반환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화해·치유재단 해산에 따른 외교적 조치의 방향에 대해 “외교부가 잔액(재단 잔여기금)과 10억 엔 부분은 (일본과) 협의를 해나가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 장관은 10억 엔의 일본 반환 및 국제사회 여성인권운동 지원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러 방안이 논의될 것 같다”고만 답했다. 또 강 장관은 21일 재단 해산 공식 발표 이후 일본 측의 반발과 관련해서는 “과잉 대응은 이럴 때는 안 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하지만 강 장관은 재단 해산 및 대법원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고조된 일본과의 갈등 해소를 위해 일본을 방문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이런저런 사안으로 한 번…(갈 수도 있다)”면서도 “지금 일정이 잡힌 것은 없지만 늘 옵션으로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화해·치유재단 활동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별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평가하는 분위기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10억 엔은 건드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외교부 관계자도 “현재로서는 10억 엔을 일본에 돌려줄 계획이 전혀 없다”며 “출연금을 돌려주면 사실상 합의 파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 출연금 잔여분은 어떻게든 피해자 중심으로 우리나라 안에서 소진한다는 게 큰 틀”이라며 “일본과도 협의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준희 기자 vinke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