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 ‘여권 추락’ 진단

“靑 과감한 인적쇄신 필요
與도 대통령에 할 말 해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도가 속절없이 무너지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제일주의’에서 벗어나야 하며,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과감한 전환에 나서야 반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선 정책 기조 변경과 야당과의 협치를 위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주문이 나왔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29일 통화에서 “경제위기가 심화하고 남북관계도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뚜렷한 반전카드는 없다”며 “다만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뿐 아니라 경제 문제나 공약 이행 등 국정 운영에 필요한 노력을 골고루 투입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배 본부장은 “민주당 지지율도 결국 대통령 손에 달린 만큼, 대통령의 불균형한 국정운영이 지속될 경우 여권 지지율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그렇게 될 경우 당에서도 역으로 대통령에 대해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준 명지대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국정 동력이 상실돼 반등할 골든 타임을 이미 놓쳤다고 본다”면서도 “문 대통령은 ‘경제 앞에 장사는 없다’는 인식을 갖고 국민이 체감하고 시장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경제 정책을 과감히 전환해야 반전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남북관계만 좋아지면 모든 게 해결된다는 인식에서도 벗어나야 하고, 권한이 집중된 청와대에 대한 인적 쇄신과 법치 질서 확립, 야당과의 협치 노력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순정 리얼미터 조사분석실장은 “정부·여당은 현 국면 전환 카드로 남북 평화 분위기 조성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만을 생각하는 것 같은데, 무엇보다 경제에서 답을 구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며 “국민의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선 무엇보다 경제 회복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을 살려야 한다”고 했다.

권 실장은 “문 대통령 지지율이 40%대로 떨어졌지만 아직 역대 어느 정권보다 높은 만큼 경제 상황만 반등되면 반전 모멘텀도 잡을 수 있다고 본다”며 “그러나 실패할 경우 주변부 지지층뿐만 아니라 핵심 지지층 일부도 떨어져 나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관련기사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