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 시장은 ‘하향’이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동조화가 강해지고 있는 글로벌 부동산 시장도 완연히 꺾였고, 국내외 연구소와 전문가 대부분도 하락세를 점치고 있지요. 일부에서 우리나라 주택시장은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경기 침체와 강력한 부동산 규제, 지난 5년간의 연속 상승 영향을 감안할 때 더 오를 가능성은 작다는 견해입니다. 글로벌 부동산 시장은 확실히 하락하고 있지요. 세계 주요 도시 간 동조화가 높아지는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과 중국의 자국 내 기업부채 조정에 따라 중국인의 세계 각국 도시 부동산 매도가 늘면서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의 부동산 가격 하락 폭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실제 영국은 2016년부터 도입된 다가구 주택자에 대한 규제와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 중국 자본 유출 영향 등의 불안감이 더해져 지난해 초부터 런던 집값이 내리고 있고, 미국과 캐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홍콩 부동산가격도 지난해 9∼12월 사이에 4% 이상 하락했고요.
올해 한국 부동산 시장은 인구 고령화와 감소가 서서히 영향을 미치면서 ‘하향’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국제통화기금 발간 보고서를 토대로 급속한 고령화로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미국과 일본, 영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11개국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DI는 일본은 총인구가 줄어든 2010년 이후 빈집이 늘면서 집값도 약세를 보였고, 현재 빈집이 800만 가구를 넘는다는 점도 한국 부동산 시장 약세의 근거로 제시했지요.
집값 하락 전조 현상은 전셋값 내림세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전셋값은 입주물량 증가로 0.04% 떨어졌습니다. 올해도 전국적으로 약 38만 가구의 주택이 입주 예정이어서 전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전세가율도 낮아질 전망이지요. 이는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갭(Gap) 투자자들의 매도 도미노 현상을 부를 가능성도 커 집값 하락을 가속화할 수도 있지요. 그렇다면 올해 서울 집값은 어떻게 될까요. 연구소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지만, 경기 침체와 부동산 규제 영향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지난 3∼4년간과는 달리 서울 입주 물량도 많고요. 올해 서울 입주 예정물량은 6만3000가구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간 기준 최대 물량이 나옵니다. 국토교통부가 서울 신규주택 수요를 연간 5만5000가구로 예측한 것을 감안해 볼 때 8000가구가량 많은 물량이지요. 올해 서울 집값은 부동산 시장 장기 추세로 볼 때 대세 하향은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soon@munhwa.com
올해 한국 부동산 시장은 인구 고령화와 감소가 서서히 영향을 미치면서 ‘하향’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국제통화기금 발간 보고서를 토대로 급속한 고령화로 우리나라 주택가격이 미국과 일본, 영국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11개국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DI는 일본은 총인구가 줄어든 2010년 이후 빈집이 늘면서 집값도 약세를 보였고, 현재 빈집이 800만 가구를 넘는다는 점도 한국 부동산 시장 약세의 근거로 제시했지요.
집값 하락 전조 현상은 전셋값 내림세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전셋값은 입주물량 증가로 0.04% 떨어졌습니다. 올해도 전국적으로 약 38만 가구의 주택이 입주 예정이어서 전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전세가율도 낮아질 전망이지요. 이는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한 갭(Gap) 투자자들의 매도 도미노 현상을 부를 가능성도 커 집값 하락을 가속화할 수도 있지요. 그렇다면 올해 서울 집값은 어떻게 될까요. 연구소들과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리지만, 경기 침체와 부동산 규제 영향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전망입니다. 지난 3∼4년간과는 달리 서울 입주 물량도 많고요. 올해 서울 입주 예정물량은 6만3000가구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연간 기준 최대 물량이 나옵니다. 국토교통부가 서울 신규주택 수요를 연간 5만5000가구로 예측한 것을 감안해 볼 때 8000가구가량 많은 물량이지요. 올해 서울 집값은 부동산 시장 장기 추세로 볼 때 대세 하향은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soon@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