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현지시간) ‘소비자가전쇼(CES) 2019’ 행사장 네이버 부스를 방문한 노진서(오른쪽 세 번째)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이 석상옥(〃 첫 번째) 네이버랩스 헤드로부터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한 브레인리스 로봇 ‘앰비덱스’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네이버 제공
9일(현지시간) ‘소비자가전쇼(CES) 2019’ 행사장 네이버 부스를 방문한 노진서(오른쪽 세 번째)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이 석상옥(〃 첫 번째) 네이버랩스 헤드로부터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한 브레인리스 로봇 ‘앰비덱스’에 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네이버 제공
양사, CES 현지서 전격 결정
LG 로봇에 위치 플랫폼 이식
GPS신호 약한 실내서도 안내


네이버의 고정밀 위치·이동 통합 플랫폼 ‘xDM’(xDM·eXtended Definition & Dimension Map)이 LG 로봇에 이식된다. 이 협력은 양사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소비자가전쇼(CES) 2019’에서 경영진이 상호 부스를 방문하는 과정에서 전격적으로 결정됐다.

네이버의 기술연구개발법인 네이버랩스는 LG전자의 안내 로봇에 ‘xDM’을 적용하는 공동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네이버 관계자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LG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xDM’을 보다 큰 가치를 지닌 서비스로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xDM’ 플랫폼은 네이버랩스가 △지도 구축(mapping) △측위(localization) △내비게이션(navigation) 분야에서 축적한 고차원 기술과 고정밀 데이터를 통합한 위치 및 이동 통합 기술이다. 실제 공간에서의 실시간 이동 정보 파악, 정밀한 위치 인식, 3D 고정밀 지도 구축 및 자동 업데이트까지 가능해 다양한 서비스 및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실제 ‘xDM’을 기반으로 제작된 ‘Wayfinding API(웨이파인딩 API)’는 고정밀 실내지도와 다양한 센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GPS 신호가 약한 실내 공간에서도 실시간으로 정확한 길 안내를 할 수 있다.

네이버는 이 같은 협력으로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는 저가의 센서와 낮은 프로세싱 파워 만으로 정확도 높은 실내 자율주행 기능 구현이 가능한 ‘xDM’ 플랫폼을 도입, 안내 로봇 ‘에어스타’를 한 단계 더 진화시킬 계획이다. 네이버랩스는 LG의 안내 로봇에서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xDM’ 플랫폼을 더욱 고도화한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헤드는 “CES에서 양사의 협력 논의가 급진전 돼 결실을 보게 된 것은 가장 큰 성과 중 하나”라며 “다양한 로봇 개발을 통해 일상생활 속 기술 혁신에 노력하고 있는 LG전자와 협력해 ‘생활환경지능’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진서 LG전자 로봇사업센터장은 “네이버와 협력으로 LG 로봇을 사용하는 고객들의 편안함이 증대될 것”이라며 “네이버와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함께 확대해나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라스베이거스=손기은 기자 son@munhwa.com
손기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