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구 금융위원장 간담회
개인투자자 진입요건 낮춰
재산기준도 10억→5억으로
혁신·중소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가 도입돼 비상장 회사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진다. 또 손실 감내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개인들의 개인 전문 투자자 진입 요건도 완화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오전 인천 검단산업단지 아하정보통신에서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 도입 방안 및 개인전문투자자 진입요건 개선 방안’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에 나온 방안은 자본시장 혁신과제 중 첫 번째로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의 경우 중소기업 자금 조달 관련 비즈니스를 전문으로 하는 사모 중개회사에 별도의 진입 경로를 신설하고 규제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진입 요건은 투자중개업 자본금의 최저 수준인 5억 원, 인력 요건은 투자권유자문 1인·내부 통제 1인 등 최소 2인 이상의 인력만 구성하면 된다. 또 건전성 규제에서 제외되며 업무 보고서도 분기별 제출로 완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이와 함께 보유 자산이 많고 위험 감내 능력이 높으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개인 투자자에 대해서 전문 투자자로 인정키로 했다. 개인 전문투자자의 금융투자잔고 기준을 현행 ‘5억 원 이상’에서 ‘초저위험 상품을 제외한 5000만 원 이상’으로 완화하고 1억 원인 현 소득 기준에 ‘부부합산 1억5000만 원’이 추가되고 10억 원 이상인 현 재산 기준은 ‘주거 중인 주택을 제외한 총 자산 5억 원 이상’으로 바뀐다. 금융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개인은 잔액 기준(5000만 원)만 채우면 전문투자자로 인정된다. 금융위는 기준 완화로 개인전문투자자가 현재 2000여 명 수준에서 약 37만~39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 위원장은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는 혁신 기업과 전문 투자자, 기존 자본시장 플레이어를 연결하는 실핏줄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개인 투자자 확대에 대해서는 “모험 자본 공급자 역할 강화와 함께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으로 국민 자산 증식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세영 기자 go@munhwa.com
개인투자자 진입요건 낮춰
재산기준도 10억→5억으로
혁신·중소기업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중개회사가 도입돼 비상장 회사에 투자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진다. 또 손실 감내 능력과 전문성을 갖춘 개인들의 개인 전문 투자자 진입 요건도 완화된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21일 오전 인천 검단산업단지 아하정보통신에서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 도입 방안 및 개인전문투자자 진입요건 개선 방안’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번에 나온 방안은 자본시장 혁신과제 중 첫 번째로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의 경우 중소기업 자금 조달 관련 비즈니스를 전문으로 하는 사모 중개회사에 별도의 진입 경로를 신설하고 규제도 간소화한 것이 특징이다. 진입 요건은 투자중개업 자본금의 최저 수준인 5억 원, 인력 요건은 투자권유자문 1인·내부 통제 1인 등 최소 2인 이상의 인력만 구성하면 된다. 또 건전성 규제에서 제외되며 업무 보고서도 분기별 제출로 완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이와 함께 보유 자산이 많고 위험 감내 능력이 높으며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개인 투자자에 대해서 전문 투자자로 인정키로 했다. 개인 전문투자자의 금융투자잔고 기준을 현행 ‘5억 원 이상’에서 ‘초저위험 상품을 제외한 5000만 원 이상’으로 완화하고 1억 원인 현 소득 기준에 ‘부부합산 1억5000만 원’이 추가되고 10억 원 이상인 현 재산 기준은 ‘주거 중인 주택을 제외한 총 자산 5억 원 이상’으로 바뀐다. 금융 관련 전문지식을 보유한 개인은 잔액 기준(5000만 원)만 채우면 전문투자자로 인정된다. 금융위는 기준 완화로 개인전문투자자가 현재 2000여 명 수준에서 약 37만~39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 위원장은 “중소기업금융 전문 투자회사는 혁신 기업과 전문 투자자, 기존 자본시장 플레이어를 연결하는 실핏줄 같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개인 투자자 확대에 대해서는 “모험 자본 공급자 역할 강화와 함께 새로운 투자 기회 제공으로 국민 자산 증식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박세영 기자 go@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