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3000명 홍보단’ 발족
대국민 홍보활동 전개하기로
소득공제율 확대 요청 추진도
‘제로페이’가 오는 3월 1일 정식 서비스 출범을 앞둔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제로페이 확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제로페이 자체가 공공부문의 시장 왜곡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전국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오는 22일 가맹점주 3000명으로 구성된 ‘제로페이3000홍보단’이 발족돼 제로페이 확대를 위한 대국민 홍보활동을 전개한다. 협의회는 향후 홍보단 규모를 1만 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방안 확대도 적극 요구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소비자들이 제로페이를 사용하면 연말정산에서 40% 소득공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는데, 제로페이 확산을 위해 소득공제율을 50~60%까지 확대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전통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누리상품권이나 지역 상품권을 제로페이에 연동하는 방안도 건의할 예정이다. 제로페이 사용 시 포인트를 적립해 상품권 구매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식이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가 제로페이 확산에 적극 나서는 것은 판매자에게 결제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 제로페이를 활성화하면 카드 수수료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협의회에 따르면, 편의점의 경우 월 60만~70만 원의 카드 수수료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서울시가 추진하는 제로페이가 관(官)의 지나친 시장 개입으로 시장을 왜곡시킨다는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소상공인 보급률도 극히 낮아 실효성도 떨어진다. 1월 말 기준 서울 소상공인 점포 66만 개 중 10%에 미치지 못하는 5만8354곳(8.8%)만 제로페이를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 현금이나 신용카드 결제와 비교해 더 많은 시간과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필요하다면 굳이 이용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면서 “상점 어디에서든 결제가 가능하고 편의성이 높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대국민 홍보활동 전개하기로
소득공제율 확대 요청 추진도
‘제로페이’가 오는 3월 1일 정식 서비스 출범을 앞둔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이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제로페이 확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제로페이 자체가 공공부문의 시장 왜곡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논란이 이어지고 있어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전국가맹점주협의회에 따르면 오는 22일 가맹점주 3000명으로 구성된 ‘제로페이3000홍보단’이 발족돼 제로페이 확대를 위한 대국민 홍보활동을 전개한다. 협의회는 향후 홍보단 규모를 1만 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제로페이 활성화를 위한 정부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방안 확대도 적극 요구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소비자들이 제로페이를 사용하면 연말정산에서 40% 소득공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는데, 제로페이 확산을 위해 소득공제율을 50~60%까지 확대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전통시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누리상품권이나 지역 상품권을 제로페이에 연동하는 방안도 건의할 예정이다. 제로페이 사용 시 포인트를 적립해 상품권 구매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방식이다.
전국가맹점주협의회가 제로페이 확산에 적극 나서는 것은 판매자에게 결제수수료를 부과하지 않는 제로페이를 활성화하면 카드 수수료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협의회에 따르면, 편의점의 경우 월 60만~70만 원의 카드 수수료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서울시가 추진하는 제로페이가 관(官)의 지나친 시장 개입으로 시장을 왜곡시킨다는 논란은 지속되고 있다. 소상공인 보급률도 극히 낮아 실효성도 떨어진다. 1월 말 기준 서울 소상공인 점포 66만 개 중 10%에 미치지 못하는 5만8354곳(8.8%)만 제로페이를 신청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연구원은 최근 ‘국내 모바일 간편결제서비스 시장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존 현금이나 신용카드 결제와 비교해 더 많은 시간과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필요하다면 굳이 이용할 이유가 없어질 것”이라면서 “상점 어디에서든 결제가 가능하고 편의성이 높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현진 기자 cworange@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