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외 의제

대북 인도적 지원 속도 낼 듯
北·日정상회담 이어질지 관심


미·북 정상이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미군 유해 추가 송환과 일본인 납치자 문제, 인도적 지원 문제 등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한 외교 소식통은 이날 “이번 2차 미·북 정상회담에서도 미군 유해송환 문제가 다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양국 정상은 회담에서 북한이 수습한 미군 유해를 송환하는 것에서 나아가 북한 지역에서 미·북 공동으로 유해발굴 사업을 하는 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북은 지난해 6월 1차 미·북 정상회담에서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 및 포로 등의 유해를 즉각 송환하기로 합의했으며, 북한은 지난해 7월 27일 미군 유해 55구를 돌려보낸 바 있다.

공동 유해발굴 사업이 실현될 경우 미국은 장비 대북 반입과 발굴 비용 지불 등 대북 제재 예외 조치를 취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측은 북한 내 장진호 전투 지역(1024구)과 운산 및 청천 전투 지역(1495구) 등 한국전쟁 주요 격전지와 전쟁포로 수용소 소재지(1200여 구) 등에 5000여 구의 미군 유해가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최대 관심사인 일본인 납치 문제도 양 정상 간 논의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일본은 비핵화와 함께 일본인 납치자 문제를 일괄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취하더라도 대북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일본 정부를 설득하기 위해서도 미국이 관련 문제를 향후 논의하자는 수준의 제안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 비핵화에 대한 대표적 상응 조치 중 하나로 꼽히는 인도적 지원도 회담 결과물에 포함될 전망이다. 미국은 2차 미·북 회담 이전에 이미 대북 인도적 지원 확대의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우리 정부는 회담 결과에 따라 지난해 보류된 80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즉각 시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세계식량계획(WFP)과 유니세프의 대북 인도지원 사업에 각 450만 달러와 350만 달러를 공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유민환 기자 yoogiza@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