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제단말기와 연동안돼 불편
일일이 금액 계산 다시 해야
1월결제 8633건에 2억 불과
신용카드 실적 0.0003%기록
“성급한 추진 치적쌓기 아니냐”
서울시는 수당 주며 영업 독려
“제로페이(사진)는 가게 포스(POS·바코드 인식 결제) 단말기와 연동이 안 돼 매출 관리하기가 어렵습니다.”
서울 광진구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강인모(가명) 씨는 서울시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제로페이 결제시스템이 손님은 물론, 업주들에게도 외면을 당하고 있다며 이같이 불만을 쏟아냈다.
1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제로페이 서비스가 시작된 지 4개월가량이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소상공인과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제로페이 결제실적은 8633건, 1억9949만 원으로 같은 기간 국내 신용카드 결제실적(15억6000만 건, 58조1000억 원)과 비교하면 각 0.0006%, 0.0003%를 기록했다.
소상공인들은 서울시가 제대로 준비도 하지 않고 지나치게 성급하게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지적한다. 대표적으로 제로페이는 상점의 매출 관리를 해 주는 포스와 연결이 되지 않아 업주들이 매출 관리에 큰 불편을 겪는다. 일종의 계좌 이체 형식이다 보니 영업점에서는 현금 매출로 잡혀 신용카드 매출과 달리 세금 계산 시에 매우 불편하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음식점을 하는 한 업주는 “포스와 연동이 안되다 보니 일일이 총금액 등을 계산해 손님에게 알려줘야 한다”며 “손님이 밀려드는 바쁜 시간에는 업주들에게 매우 불편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결제 과정도 매우 불편하다. 강 씨는 “손님이 결제했어도 은행 문자 등을 통해 내 계좌에 결제금액이 입금됐다는 것이 최종 확인돼야 한다”며 “영업장에서 사장 대신 종업원이 계산했을 때도 결국에는 사장인 내가 입금됐다는 것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영업장) 자리를 비울 수도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소상공인들 사이에서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실적 쌓기용’ 아니냐는 불만이 나온다. 실제, 서울시는 특별교부금 300억 원을 마련해 각 구청 공무원들이 제로페이를 유치하면 건당 일정 금액의 수당을 지급하는 식으로 ‘영업’을 독려하고 있다.
한 소상공인은 “서울시가 꼼꼼한 준비도 없이 이렇게 성급하게 사업을 추진하는 이유를 정말 모르겠다”며 “자영업자들을 위한 것이라고 하는데, 그렇다면 자영업자들이 문제없이 쓸 수 있도록 만든 뒤에 시행해도 늦지 않은 데 성급하게 추진하는 것은 박 시장 치적을 포장하기 위한 보여주기식 행정 아니냐는 불만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