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銀… 2월 수출입물가지수
수입물가 9개월來 최대 상승
국제유가 상승에 영향을 받아 수출물가가 넉 달 만에 반등했지만, 반도체 수출물가는 또다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D램 반도체는 7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수입물가는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9년 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2월 수출물가지수(2010년=100·원화 기준)는 82.97로 한 달 전보다 0.2% 올랐다. 수출물가는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하다 4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다.
유가 상승에 석탄 및 석유제품 수출물가는 8% 올랐다. 상승률은 2018년 5월(8.4%) 이후 가장 높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경유(9.3%), 제트유(7.5%), 휘발유(8.9%), 벙커C유(10.3%)에서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주력 수출 품목인 D램 수출물가는 6.9% 하락해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 내림세다.
하락 기간은 2016년 2∼8월(7개월) 이후 가장 길다. 하락 폭은 1월(14.9%)에 비해 축소됐다.
또 다른 반도체 제품인 플래시메모리 수출물가도 2.4% 떨어졌다. 모니터용 LCD는 1.8%, TV용 LCD는 1.5% 하락했다. 이에 전기 및 전자기기 수출물가는 1.6%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D램 반도체가 -23.2%, TV용 LCD가 -17.9%, 플래시메모리가 -43.1% 떨어졌다.
또한 수입물가지수는 역시 유가 상승에 힘입어 86.56으로 전월보다 1.9% 올랐다. 상승률은 지난해 5월(2.7%) 이후 가장 높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수입물가 9개월來 최대 상승
국제유가 상승에 영향을 받아 수출물가가 넉 달 만에 반등했지만, 반도체 수출물가는 또다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D램 반도체는 7개월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다. 수입물가는 9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2019년 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2월 수출물가지수(2010년=100·원화 기준)는 82.97로 한 달 전보다 0.2% 올랐다. 수출물가는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하다 4개월 만에 상승 반전했다.
유가 상승에 석탄 및 석유제품 수출물가는 8% 올랐다. 상승률은 2018년 5월(8.4%) 이후 가장 높다. 세부 품목별로 보면 경유(9.3%), 제트유(7.5%), 휘발유(8.9%), 벙커C유(10.3%)에서 상승 폭이 두드러졌다.
반면 주력 수출 품목인 D램 수출물가는 6.9% 하락해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 연속 내림세다.
하락 기간은 2016년 2∼8월(7개월) 이후 가장 길다. 하락 폭은 1월(14.9%)에 비해 축소됐다.
또 다른 반도체 제품인 플래시메모리 수출물가도 2.4% 떨어졌다. 모니터용 LCD는 1.8%, TV용 LCD는 1.5% 하락했다. 이에 전기 및 전자기기 수출물가는 1.6% 내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D램 반도체가 -23.2%, TV용 LCD가 -17.9%, 플래시메모리가 -43.1% 떨어졌다.
또한 수입물가지수는 역시 유가 상승에 힘입어 86.56으로 전월보다 1.9% 올랐다. 상승률은 지난해 5월(2.7%) 이후 가장 높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