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발생한 산불로 임시 휴교령이 내려졌던 강원 강릉시 옥계중의 한 학생이 8일 오전 산불로 폐허처럼 변한 수목 사이로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5일 발생한 산불로 임시 휴교령이 내려졌던 강원 강릉시 옥계중의 한 학생이 8일 오전 산불로 폐허처럼 변한 수목 사이로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노후한 장비 등 허술한 예방체계
과거에도 계속 지적됐던 문제점

韓電, 올 정비예산 4200억 삭감


지난 4일 강원지역 고성과 속초, 강릉 옥계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이 고질적으로 재발하는 데 대해 재난 사전 예방 및 대응 시스템, 관련 예산, 노후 장비 및 각종 설비 교체 등 ‘3무(無) 대책’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8일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은 강원 산불에 대한 재난 복구 비용을 추가경정예산에 편성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여당은 각종 재난대책비와 예비비를 동원해 피해 복구에 집중하는 한편, 지역의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연례행사처럼 반복되는 산불을 막을 수 있는 예방조치에도 예산을 늘리는 방안을 기획재정부에 요청한다는 계획이다. 향후 본예산에서 화재 대응 시스템 정비·강화 등이 거론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산불의 경우 사전 예방 시스템 차원에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 지역은 4월에 ‘양간지풍(襄杆之風)’으로 불리는 강풍이 부는 곳인 만큼 지난해 초속 25m의 강풍에도 운항이 가능한 대형 다목적 헬기가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현재 강원소방본부가 보유한 헬기는 구조용 소형헬기 2대뿐이다. 또 화재에 투입되는 인력이 턱없이 부족했다는 점 역시 산불 초동 진압에 실패한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산악 지형을 통과하는 고압 송·배전선에 대한 안전관리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는 올해 배전설비 정비예산을 4200억 원가량 삭감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고성 산불의 경우 강풍으로 인해 고압 송전선 개폐기 연결 전선(리드선)에서 불꽃이 일어나면서 발생했다. 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지만, 산악지역 각종 시설물의 안전 점검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산악지역 ‘전선 지중화’ 등 사전 대책이 논의됐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시영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교수는 “예방 및 방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수립해야 한다”면서 “산불 진화의 경우 ‘골든 타임’을 맞출 수 있는 우수한 초대형 화재진압 헬기 등 기계화시스템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민·민병기 기자 bohe00@munhwa.com

대전=김창희 기자

관련기사

박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