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용호·최선희 등 수행단 포함
단계적 비핵화 지지 논의할 듯
크렘린궁 “공동성명 계획없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탄 전용열차가 24일 새벽 북한을 출발, 오전 10시 40분(한국시간 오전 9시 40분)쯤 북·러 국경을 넘었다.
김 위원장은 2월 말 ‘미·북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첫 대외 행보인 이번 러시아 방문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단계적 비핵화 방안을 논의한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강화된 대북제재에 따른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한 경제지원 및 협력방안 논의에 더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리아노보스티 통신 등 러시아 언론들은 이날 김 위원장이 탑승한 전용열차가 오전 10시 40분 두만강 철교를 넘어 러시아 접경 하산역에 도착했다고 보도했다. 하산 역에서는 ‘빵과 소금’을 담은 접시와 함께 꽃다발을 건네는 환영 행사가 열렸다. 김 위원장은 하산의 ‘김일성의 집’ 박물관을 들렀다가 연해주 도시인 우수리스크를 거쳐 시베리아횡단철도(TSR) 구간을 이용, 북·러 정상회담이 열리는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할 예정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김정은 동지께서 러시아를 방문하시기 위해 4월 24일 새벽 전용열차로 출발하시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 수행단에는 김평해·오수용 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 리영길 인민군 총참모장,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 등이 포함됐다고 중앙통신은 전했다. 김 위원장이 평양역이 아닌 러시아와 인접한 북부 도시의 기차역에서 출발했을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은 25일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 섬의 극동연방대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러시아 크렘린궁은 25일 북·러 정상회담을 공식 확인하면서 “공동성명은 검토되거나 계획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이날 북·러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입장을 묻는 문화일보의 논평 요청에 “국제사회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FFVD)’라는 같은 목표에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주 기자 everywhere@
워싱턴 = 김석 특파원
관련기사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