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정책도 한몫

서울 성수동이 ‘성수 밸리’로 떠오른 배경에는 성동구의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도 한몫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성동구는 지역 청년 일자리 문제의 새 해법으로 일찌감치 ‘소셜벤처’를 제시했다.

29일 성동구에 따르면 현재 260개 기업이 성수동 지역을 중심으로 ‘소셜벤처 밸리’를 이루고 있는 상태다. 구는 제도 구축과 공간 조성, 자립기반 지원, 협업체계 확립 등 측면에서 소셜벤처 기업을 지원하고 나섰다. 2014년 12월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사회적 경제 활성화 기금 조례’를 제정, 구비와 민간 임팩트 투자회사의 지원금 등으로 기금을 만들었다. 임대료 상승으로 세입자가 쫓겨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젠트리피케이션(둥지 내몰림 현상) 방지 조례’와 ‘청년 소셜벤처 지원조례’도 제정했다.

정부도 이에 발맞춰 2018년 5월 성수동을 청년 소셜벤처 허브로 육성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KT&G는 ‘청년창업지원센터’를 2020년 준공할 계획이다. 오는 9월에는 청년 사회 혁신가들을 위한 제3회 서울숲 소셜벤처 엑스포(EXPO)도 개최할 예정이다.

구는 지역 내 지식산업센터(사진)에 입주한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지원해 ‘기업 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다. 지식산업센터의 분양 건수는 2015년 363호에서 2018년 1234호로 3.4배가량으로 늘었다. 구는 지식산업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용적률 완화와 취득세 50%·재산세 37.5%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성동지역경제혁신센터와 근로자복지센터를 운영해 지역의 산업환경을 개선하는 등 입주 기업과 종사자를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2014년 성수동에는 36개 센터에 200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있었으나 현재 49개 센터에 3800여 개 기업이 입주해 사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는 2022년까지 64개 센터에 5400여 개 기업이 입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구는 또 지역 중소기업 홍보와 사업 경쟁력 강화를 돕기 위한 ‘중소기업 시장 판로개척 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지역 내에 사업자등록을 한 중소기업이나 지식산업센터 입주 기업이 국내외 전시박람회에 참여하거나 제품 홍보·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비용을 지원한다.

성동구 내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증강현실(AR) 기반의 안경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눈사람이노베이션’의 이준호 대표는 “처음에는 사업을 어떻게 해야 할지 어려웠는데 서울시와 성동구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다”며 “성동구는 지역적 입지가 좋은 데다 다양한 스타트업이 모여 있는 덕분에 외주 작업이나 인력을 구할 때 기술력이 있는 직원들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후민 기자 potato@munhwa.com
이후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