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까지 합의 못하면 전면파업
전국 각 지역 버스 노사가 전면 파업을 하루 앞둔 14일 최종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은 정부의 ‘준공영제 확대’ 방안 등은 실효성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으면 버스대란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날 중앙노동위원회 및 자동차노련에 따르면 서울·경기(광역)·부산·광주·울산·경남(창원)·충남(세종)·전남 등 전국 8개 지역 버스 노조는 지역노동위별로 일제히 2차 쟁의조정 회의에 들어갔다. 이날 자정까지 노사 합의에 진척이 없을 경우 오는 15일 오전 4시를 기해 전국에서 1만6600여 대의 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된다. 자동차노련 관계자는 “정부와 여당이 13일 제시한 ‘임금 우회 지원’이나 ‘준공영제 확대’ 방안은 모두 실효성이 없거나 기존 정책의 ‘재탕’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정오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정부관계자들과 버스대란을 막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전국 각 지역 버스 노사가 전면 파업을 하루 앞둔 14일 최종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한국노총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은 정부의 ‘준공영제 확대’ 방안 등은 실효성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으면 버스대란이 일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날 중앙노동위원회 및 자동차노련에 따르면 서울·경기(광역)·부산·광주·울산·경남(창원)·충남(세종)·전남 등 전국 8개 지역 버스 노조는 지역노동위별로 일제히 2차 쟁의조정 회의에 들어갔다. 이날 자정까지 노사 합의에 진척이 없을 경우 오는 15일 오전 4시를 기해 전국에서 1만6600여 대의 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된다. 자동차노련 관계자는 “정부와 여당이 13일 제시한 ‘임금 우회 지원’이나 ‘준공영제 확대’ 방안은 모두 실효성이 없거나 기존 정책의 ‘재탕’에 그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정오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정부관계자들과 버스대란을 막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관련기사
-
<버스 총파업 D-1>노조측 “정부대책 재탕·뜬구름”…‘서민의 발’ 올스톱 위기
-
<버스 총파업 D-1>1조3000억 추가부담은 누가… 정부-지자체 ‘이견’
-
<버스 총파업 D-1>“또 혈세투입…‘일자리 안정자금 실패’ 전철 밟나”
-
<버스 총파업 D-1>비상걸린 지자체… 지하철 증편 등 긴급수송 대책 마련
-
경기 버스요금 200원 인상…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
밤샘 협상 끝에 부산버스 극적 타결, 임금 3.9%↑+월 24일 근무
-
울산 시내버스 운행 중단…노사협상은 지속
-
“버스 대란 피했다”…전국 버스노조 파업 철회·유보
-
울산 버스 노사 밤샘 협상 끝에 극적 타결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