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민단체 궐기대회 열고
“한국조선해양 서울 설립안돼”
본사·인력 그대로 두는데도
“본사 이전 안된다” 거센 반대
경제계 “기업활동 위축 우려”
울산시청과 시의회, 시내 정계·노동계·시민단체 등이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에 따라 신설되는 ‘한국조선해양’의 서울 설립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울산 지역사회가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을 놓고 거센 논란에 휩싸였다. 이를 두고 지역 경영계 측은 기업의 입지에 대한 지역 사회의 과도한 관여는 기업의 자율적 경영활동을 침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물적(법인) 분할에 따라 새로 생기는 중간 지주사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울산)·삼호중공업(전남 영암)·대우조선해양(경남 거제) 등 전국에 흩어진 조선 관련 4개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다. 오는 31일 주주총회에서 물적 분할이 확정되면 서울에 본사를 둔 법인(현대중공업 존속법인)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기존의 현대중공업은 지금과 같이 울산에 본사를 두고 생산 시설과 인력을 유지, 지방세 납부액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21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지역 시민단체 등은 22일 울산시청에서 한국조선해양의 본사를 울산에 존치할 것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연다. 한국조선해양 서울 설립을 사실상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으로 보고,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다. 송철호 울산시장도 지난 7일 “현대중공업의 진정한 본사인 한국조선해양은 반드시 울산에 존속해야 한다”고 담화문을 발표했다. 울산시의회는 오는 28일 ‘한국조선해양 울산 존속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물적 분할 자체를 반대하며 16일부터 파업을 벌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정계, 시민단체 등 곳곳에서 인력 유출 및 지역경제 악화 우려, 도시 성장 잠재력 상실, 구조조정 우려 등을 이유로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측은 대(對)시민 유인물 등을 통해 물적 분할 이후에도 사업장이나 본사이전 계획이 전혀 없어 현대중공업 본사는 여전히 울산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서울에 설립되더라도, 울산의 인력은 줄지 않고, 지방세(2018년 302억 원) 감소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 회사의 수주 경쟁력 강화로 일감과 고용이 동시에 늘어 지역경제가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노조 측에도 물적 분할이 되더라도 근로조건과 복리후생 등 기존의 단체협약 승계를 약속하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사 이전에 따른 논란이 거세지자 지역 경제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울산 향토기업 임원 B 씨는 “기업의 입지는 경쟁력이 가장 우선 고려돼야 하는데, 지역 사회가 이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몰아가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압박은 자칫 기업 경영에 대한 자율성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울산공단 내 모 대기업 계열사 공장장 A 씨도 “기업의 입지를 놓고 지역 사회가 과도하게 관여하는 것은 경영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울산=곽시열 기자 sykwak@munhwa.com
“한국조선해양 서울 설립안돼”
본사·인력 그대로 두는데도
“본사 이전 안된다” 거센 반대
경제계 “기업활동 위축 우려”
울산시청과 시의회, 시내 정계·노동계·시민단체 등이 현대중공업 물적 분할에 따라 신설되는 ‘한국조선해양’의 서울 설립에 강하게 반발하면서, 울산 지역사회가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을 놓고 거센 논란에 휩싸였다. 이를 두고 지역 경영계 측은 기업의 입지에 대한 지역 사회의 과도한 관여는 기업의 자율적 경영활동을 침해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한국조선해양은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한 물적(법인) 분할에 따라 새로 생기는 중간 지주사로,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울산)·삼호중공업(전남 영암)·대우조선해양(경남 거제) 등 전국에 흩어진 조선 관련 4개 계열사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게 된다. 오는 31일 주주총회에서 물적 분할이 확정되면 서울에 본사를 둔 법인(현대중공업 존속법인)으로 새롭게 출발한다. 기존의 현대중공업은 지금과 같이 울산에 본사를 두고 생산 시설과 인력을 유지, 지방세 납부액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21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지역 시민단체 등은 22일 울산시청에서 한국조선해양의 본사를 울산에 존치할 것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연다. 한국조선해양 서울 설립을 사실상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으로 보고,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다. 송철호 울산시장도 지난 7일 “현대중공업의 진정한 본사인 한국조선해양은 반드시 울산에 존속해야 한다”고 담화문을 발표했다. 울산시의회는 오는 28일 ‘한국조선해양 울산 존속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물적 분할 자체를 반대하며 16일부터 파업을 벌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정계, 시민단체 등 곳곳에서 인력 유출 및 지역경제 악화 우려, 도시 성장 잠재력 상실, 구조조정 우려 등을 이유로 현대중공업 본사 이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대중공업 측은 대(對)시민 유인물 등을 통해 물적 분할 이후에도 사업장이나 본사이전 계획이 전혀 없어 현대중공업 본사는 여전히 울산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간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이 서울에 설립되더라도, 울산의 인력은 줄지 않고, 지방세(2018년 302억 원) 감소현상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 회사의 수주 경쟁력 강화로 일감과 고용이 동시에 늘어 지역경제가 더욱 활성화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노조 측에도 물적 분할이 되더라도 근로조건과 복리후생 등 기존의 단체협약 승계를 약속하고, 인위적인 구조조정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사 이전에 따른 논란이 거세지자 지역 경제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울산 향토기업 임원 B 씨는 “기업의 입지는 경쟁력이 가장 우선 고려돼야 하는데, 지역 사회가 이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몰아가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압박은 자칫 기업 경영에 대한 자율성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울산공단 내 모 대기업 계열사 공장장 A 씨도 “기업의 입지를 놓고 지역 사회가 과도하게 관여하는 것은 경영 논리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울산=곽시열 기자 sykwak@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