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CSI 6개항목 일제히 내리막
주가 하락·환율 상승 등 영향
5월 소비자심리가 급속도로 얼어붙으며 다시 비관적으로 돌아섰다.
28일 한국은행의 ‘2019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7.9로 한 달 전보다 3.7포인트 내렸다. 하락 폭은 지난해 7월(4.6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소비자들이 낙관적으로 보는 이보다 많다는 뜻이다. 지난해 11월 95.7까지 낮아진 다음 5개월 연속 상승하며 올해 4월(101.6) 기준선인 100을 넘겼으나 한 달 만에 다시 기준선 밑으로 내려왔다.
최근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한국은행 소비자심리지수를 예로 들면서 “소비자심리가 ‘업턴’했다”고 한 것과는 달라진 상황이다.
한은은 수출 등 경기지표 부진, 주가 하락, 미·중 무역분쟁 심화의 영향으로 소비자들의 경기 판단이 나빠진 것으로 분석했다. 또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품 물가상승 우려에 가계의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도 악화한 것으로 풀이했다.
CCSI를 구성하는 6개 항목은 일제히 하락했다. 6개 모두 하락한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처음이다. 경기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현재경기판단 CSI(69)는 전월 대비 5포인트, 향후경기전망 CSI(75)는 6포인트 급락했다.
현재생활형편 CSI(91)와 생활형편전망 CSI(92)는 각각 2포인트, 3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수입전망 CSI(97)는 2포인트 빠졌다. 소비지출전망 CSI(109)는 1포인트 하락했다.
주택가격전망 CSI(93)는 6포인트 상승했다. 강남권 주요 아파트 단지의 실거래 가격이 오르는 등 서울을 중심으로 집값이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한 영향이다.
취업기회전망 CSI(80)는 고용지표와 경기인식이 나빠지면서 3포인트 내렸다. 금리수준전망 CSI는 1포인트 내린 109로 2016년 10월(106) 이후 가장 낮았다. 물가수준전망 CSI는 145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다.
김만용 기자 my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