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구·다세대, 연립주택 등 아파트를 제외한 공동주택 시장이 1인 가구 증가 영향으로 ‘전용면적이 줄고 공용공간이 늘어나는’ 트렌드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인 가구 급증 영향으로 안전과 사생활을 확보할 수 있는 초소형 풀옵션 공간이 각광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피데스개발 R&D센터가 진행한 ‘비 아파트 공동주택 조사’ 결과, 다가구·다세대, 연립주택 수요자들은 안전과 사생활을 중시하며 초소형 풀옵션 공간을 선호하는 혼자 사는 젊은 1인 가구 특성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피데스개발 R&D센터는 권주안 전 주택산업연구원장, 더리서치그룹과 조사팀을 구성해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문헌 조사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 집단 심층 좌담으로 구성된 ‘아파트 외 공동주택 현황조사’를 벌였다. 심층좌담은 서울 및 수도권에서 다가구·다세대, 연립주택 개발분야 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가이드라인(Structured Guideline) 및 보기카드(Show card)로 진행됐다.
전문가 대상 표적집단 심층좌담 결과, 비 아파트 공동주택 수요는 △젊은 1인 가구 △전용면적 축소, 공용면적 확대 △풀옵션 선호 △안전과 프라이버시 중시 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전용면적 45㎡ 내외의 투룸 실입주자도 2인에서 1인 가구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했다. 실입주자 연령도 젊어져 대학생과 사회 초년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공간 구성도 달라져 전용면적은 줄어들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이전에는 전용면적 23∼33㎡(약 7∼10평) 정도 원룸이 중심이었는데 최근에는 그 절반인 전용면적 13㎡∼16㎡(약 3.8∼4.8평)의 원룸이 늘어나고 있다.
반면에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넓어지고 기능도 강화돼 세탁기, 건조기, 무인 택배함 등이 기본 시설로 요구된다. 방에서는 잠만 자고 커뮤니티 공간에서 요리, 식사, 세탁 등을 하면서 주로 생활하는 것이다.
풀옵션 선호도 진화 발전해서 시스템 에어컨, TV, 빌트인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은 필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실입주자들이 집 구경을 오면 맨 먼저 ‘시스템 에어컨’을 확인할 정도로 시스템 에어컨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등에 대한 수요도 높았다.
안전과 개인 생활을 중시해 ‘화재에 대한 안전’과 ‘보안’ 시설을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여성 수요자들이 보안에 민감해 CCTV 확대설치, 공동 현관 보안 시스템 강화, 밝은 주차장 조명 등에 대한 요구가 많다고 한다. 포항 지진 이후 내진 설계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고 화재를 대비한 불연 소재 사용 확인도 늘었다. 이 외에도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주차장, 반려동물을 위한 공간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쓰거나 애완견 도어, 계단 아래 반려동물 방을 설치하는 등 반려동물 시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김희정 피데스개발 R&D센터 소장은 “사회 전반에 삶의 방식이 바뀌면서 주거공간 수요도 빠르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젊은 1인 가구가 아파트 이외 주택시장에 몰리는 데 대해 제도 개선과 상품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순환 기자 soon@
5일 피데스개발 R&D센터가 진행한 ‘비 아파트 공동주택 조사’ 결과, 다가구·다세대, 연립주택 수요자들은 안전과 사생활을 중시하며 초소형 풀옵션 공간을 선호하는 혼자 사는 젊은 1인 가구 특성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피데스개발 R&D센터는 권주안 전 주택산업연구원장, 더리서치그룹과 조사팀을 구성해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문헌 조사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표적 집단 심층 좌담으로 구성된 ‘아파트 외 공동주택 현황조사’를 벌였다. 심층좌담은 서울 및 수도권에서 다가구·다세대, 연립주택 개발분야 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가이드라인(Structured Guideline) 및 보기카드(Show card)로 진행됐다.
전문가 대상 표적집단 심층좌담 결과, 비 아파트 공동주택 수요는 △젊은 1인 가구 △전용면적 축소, 공용면적 확대 △풀옵션 선호 △안전과 프라이버시 중시 등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전용면적 45㎡ 내외의 투룸 실입주자도 2인에서 1인 가구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을 도출했다. 실입주자 연령도 젊어져 대학생과 사회 초년생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공간 구성도 달라져 전용면적은 줄어들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넓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이전에는 전용면적 23∼33㎡(약 7∼10평) 정도 원룸이 중심이었는데 최근에는 그 절반인 전용면적 13㎡∼16㎡(약 3.8∼4.8평)의 원룸이 늘어나고 있다.
반면에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넓어지고 기능도 강화돼 세탁기, 건조기, 무인 택배함 등이 기본 시설로 요구된다. 방에서는 잠만 자고 커뮤니티 공간에서 요리, 식사, 세탁 등을 하면서 주로 생활하는 것이다.
풀옵션 선호도 진화 발전해서 시스템 에어컨, TV, 빌트인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인덕션은 필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실입주자들이 집 구경을 오면 맨 먼저 ‘시스템 에어컨’을 확인할 정도로 시스템 에어컨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등에 대한 수요도 높았다.
안전과 개인 생활을 중시해 ‘화재에 대한 안전’과 ‘보안’ 시설을 중시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여성 수요자들이 보안에 민감해 CCTV 확대설치, 공동 현관 보안 시스템 강화, 밝은 주차장 조명 등에 대한 요구가 많다고 한다. 포항 지진 이후 내진 설계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고 화재를 대비한 불연 소재 사용 확인도 늘었다. 이 외에도 엘리베이터를 중심으로 주차장, 반려동물을 위한 공간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반려동물 미끄럼 방지 바닥재를 쓰거나 애완견 도어, 계단 아래 반려동물 방을 설치하는 등 반려동물 시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김희정 피데스개발 R&D센터 소장은 “사회 전반에 삶의 방식이 바뀌면서 주거공간 수요도 빠르게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젊은 1인 가구가 아파트 이외 주택시장에 몰리는 데 대해 제도 개선과 상품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김순환 기자 soon@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