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중견사 위기 해소위해
R&D·인력양성 보완책에도
추경 통과안돼 경영난 여전
빅3는 LNG 기술개발 집중
업계선 회복실기 우려 커져


회복세였던 국내 조선업계가 미·중 간 무역갈등, 노조의 파업 등으로 다시 주춤거리고 있다. 회복의 모멘텀을 위한 정부 지원이 담긴 추가경정예산마저 정치권의 갈등으로 제때 집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자칫,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기술개발에 매진해 조선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골든타임’을 놓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 정부와 조선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조선업 현장의 활력 회복을 위해 추경에 편성한 692억 원가량의 예산이 국회 일정 마비로 집행이 미뤄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조선업 활력 제고를 위한 대책에 이어 지난 4월엔 중소형사 금융지원을 핵심으로 한 보완대책을 내놓았다. 11월 대책에선 올 연말까지 1조4000억 원가량의 지원을 마련해 국내 조선업이 글로벌 회복세를 활용할 기회를 마련했다.

하지만 중소 조선사와 기자재업체들의 자금난이 해소되지 않아 4월 보완대책을 추가로 마련했다. 4월 대책은 조선업계 위기극복 및 친환경 대응을 위해 조기추진이 필요한 기자재업체 연구·개발(R&D)에 60억 원, LNG 화물창 건조 전문인력 양성 45억 원 등 5개 신규사업 등이 포함됐다. 이는 대형 조선사들뿐만 아니라 지역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소형사, 기자재업체 자금난을 해소함으로써 조선업 회복의 추진력을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하지만 추경안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업체의 경영 애로는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보완대책을 통해 마련된 추경예산은 신용등급이 낮아 자금대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업체·기자재업체들을 위한 것”이라며 “선수금환급보증(RG)을 기존 10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확대하는 자금도 추경에 포함돼 있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반대하는 양사 노조의 불법 파업으로 생산 차질까지 빚어지면서 조선업이 글로벌 회복 흐름을 이용할 마지막 기회가 사라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형사들이 LNG 선박 분야 등에 대한 기술개발과 함께 구조조정을 통해 경쟁력을 갖춰야 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파업은 업계 전체의 대형악재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는 LNG 운반선, LNG 추진선 등 LNG 관련 연구·개발(R&D)에 집중하며 중국 경쟁사들과 격차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LNG 운반선 분야 기술 경쟁력은 중국, 일본 등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기술개발과 업계 재편을 통해 또 다른 조선산업 활황기를 맞을 기회가 눈앞에 있는데 노조파업, 정치권 갈등으로 인해 이를 놓칠까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정민·유회경 기자 bohe00@munhwa.com
박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